•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대중음악 콘서트에서 전통 굿문화의 발현 양상-전통과 현대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 관점과 관련하여- (Manifestation Patterns of Traditional Gut Culture in K-Pop Music Concerts: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4.02
38P 미리보기
현대 대중음악 콘서트에서 전통 굿문화의 발현 양상-전통과 현대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 관점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55호 / 125 ~ 162페이지
    · 저자명 : 신동흔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류로 일컬어지는 한국 대중문화 현상이 내적 본질에 있어서 전통 굿문화와 맥이 닿아 있다는 관점에서 대중음악 공연에서 굿문화의 신명풀이 요소와 양상을 살펴보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로 양자 사이에 유의미한 질적 연결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먼저 주목할 것은 굿과 콘서트의 청중이 단순한 객체나 수동적 수용자에 그치지 않고 사전 준비과정에서부터 이어진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를 통해 판의 오롯한 주인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이다. 굿의 참여자들은 신(神)과, 콘서트 참여자들은 아티스트와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소통과 합치를 이루며, 이는 모든 참여자의 연결과 합치로 이어진다. 청중의 참여방식이 ‘개인공동체’를 구현해내는 상황이다.
    신명풀이는 몸에 내재한 신명이 밖으로 우러나 움직이는 과정으로서, 참여자들이 마음의 에너지에 맞추어 몸을 힘차게 움직일 때 신명은 제대로 살아나게 된다. 물(物)과 신(神)의 초극적 합치라고 이름할 만한 신명풀이의 매커니즘은 창세신화를 비롯한 신화에서 기본 구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신명풀이 방식은 현대의 대중음악 콘서트에서 집단적 몸짓과 떼창 등의 형태로 구현된다. 몸과 마음이 합치되어 역동적인 에너지를 펼쳐내는 콘서트 현장은 새롭고도 큰 신명풀이의 장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한국적 신명풀이 문화가 해외로까지 퍼져나가는 것은 그것이 인간의 존재적 원형과 닿아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굿판에서는 돈과 물질이 넘쳐난다. 참여자들이 기꺼이 인정을 거는 일은 물(物)과 신(神)의 합치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신명풀이의 일환이 된다. 굿판에서 오가는 돈은 사람을 자유롭게 하며, 하나로 연결시킨다. 돈을 바침으로써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 인정 걸기의 본령이다. 이런 문화적 전통은 현대 대중음악 공연에서도 특징적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쇼미더머니’ 현장공연에서 청중들이 아티스트에게 가상의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신명을 표출하는 일은 전통 굿판의 현대적 재현으로 볼 만한 광경이다. 힙합의 ‘플렉스’ 문화를 물(物)을 통한 신명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굿과 콘서트에서 펼쳐내는 개인적이고도 집단적인 신명풀이의 양상은 교육적으로 의미있는 화두가 될 수 있다. 그것은 전통과 현대의 내적 연결이라는 교육적 과제와 관련한 탐구활동 및 토론활동의 주제로 삼기에 적합하다. 특히 교수자와 학습자의 세대차에 따른 서로 다른 인식체계와 감각의 차이를 조율하면서 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상호 간 문화적 문식성’ 발현에 기여할 수 있다. 문제제기적 시론으로서 본 논의의 소한함이 현장의 교육활동을 통해 풍성한 내용으로 채워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sserts that the Korean pop culture phenomenon, known as the Korean Wave, aligns with Korea’s traditional Gut culture in its inherent essence. I examined the Shinmyeongpuri in Gut culture during popular art concert events, including K-pop, through which meaningful qualitative connections were identified.
    The audience in Gut and concerts transcends the role of a simple object or passive recipient; instead, they act as active participants in the preliminary preparation process, becoming subjects of the event. Participants in the Gut experience individual and direct communication, establishing unity with God or the artist, resulting in connection and unity among all participants. The audience’s participatory approach effectively brings about a “personal community.”Shinmyeongpuri is a process in which the inherent spirit within the body surges outward and moves. When participants energetically move their bodies in alignment with the energy of their hearts, the spirit comes alive. The mechanism of Shinmyeongpuri, worthy of being called the ultimate fusion of matter (物) and spirit (神), can be seen in the basic structure of myths, including creation myths. This Shinmyeongpuri method is implemented in contemporary popular music concerts through collective gestures and mass singing. The concert scene, in which the body and mind merge to unfold a dynamic energy, holds significance as a new and grand stage for Shinmyeongpuri. The spread of Korean Shinmyeongpuri culture overseas can be attributed to its connection with the existential archetype of humanity.
    In Gut ceremonies, money and material abundance overflow. The participants’ willingly acknowledging merit can be understood as a manifestation of the union of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constituting an integral part of Shinmyeongpuri. The circulation of money in Gut creates freedom for individuals and connects them as one. The essence of acknowledgment lies in becoming free of money by dedicating it. This cultural tradition is also observed in contemporary popular music performances. The act of the audience of “Show Me the Money” live performances virtually paying money to artists is a modern reproduction reminiscent of traditional Gut ceremonies. The flex culture in hip-hop is a clue to interpreting Shinmyeong expressions through the material.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ressions of Shinmyeongpuri in Gut and concerts can serve as an educationally meaningful topic. It is well-suited to explorat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educational challenges of the inner connection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In particular, reconciling the different worldviews and sensibilities of educators and learners based on generational differences can contribute to the manifestation of “mutual cultural literacy.” I hope that the shortcomings of this discussion as a problematizing discourse can be filled with rich content through on-site educational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