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知退堂 李廷馨의 春川에서의 문한 활동과 그 추숭 양상 - 文巖書院배향의 동인과 관련하여 - (The Literary Activity and Commemoration of Lee Jeong-hyeong (李廷馨) in Chuncheon (春川) - In relation to the motivation of Munamseowon (⽂巖書院) enshrinement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2.03
43P 미리보기
知退堂 李廷馨의 春川에서의 문한 활동과 그 추숭 양상 - 文巖書院배향의 동인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89권 / 193 ~ 235페이지
    · 저자명 : 정용건

    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 李廷馨의 春川 관련 문한 활동과 그 후대적 기억 양상에 대한고찰을 통해, 이 지역에서 그가 점유한 학적 위상과 ⽂巖書院 배향 동인 및 결과를 살핀 글이다.
    이정형은 유력 가문 배경과 두터운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성장하고, 뛰어난 학적재능을 인정받아 조정의 문한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임진왜란 시기에는 개성 유수, 경기도 관찰사로서 지역 수비와 국난 수습에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는 젊은시절부터 춘천 泉⽥⾥에 장원을 마련하고 그곳을 왕래하며 터전으로 삼고 있었는데, 1597년 모친상을 당하고 곧이어 정유재란을 만난 것을 계기로 이후 약 3년여 동안 춘천 우거생활을 영위하게 되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이곳을 전란과 모친상으로 인한 상심을 회복하는 ‘치유와 안식의 공간’, 지역 유생들과 교유하고 후배 세대를 양성하는 ‘후생 교육의공간’으로 인식하였으며, 나아가 ⿈兎記事, 壽春雜記와 같은 그의 대표적 역사 저술들을 산생시킨 ‘저술의 공간’으로도 활용하였다.
    이처럼 이정형은 적지 않은 기간 동안 춘천과 인연을 맺으며 다양한 문한 활동을 전개하였기에, 사후에도 이 지역 학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기억될 수 있었다. 이어 1612년 춘천에 이황을 기리는 문암서원이 건립되고 그에 대한 賜額 조치가 이루어지면서, 마찬가지로 춘천을 학적 터전으로 삼았던 이정형을 이곳에 배향해야 한다는 논의가 지역 사회에서본격화되었고, 1677년 실제 서원 배향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지역 사회에서의 역할과학덕에 대한 국가적 공인에 힘입어 이후 그에 대한 ⾏狀 찬술, 문집 편찬 등 현양 작업이이루어졌고, 나아가 그를 이황과 본격적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이미지 강화 작업 역시 수행되었다. 그러한 과정을 거친 끝에 그는 현재까지 춘천을 대표하는 학인 가운데 한 명으로 일컬어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정형의 춘천에서의 활동과 그 추숭 양상은, 지역 사회에서 이루어진 인물기억과 현양의 한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고에서 수행한 논의를 통해 조선 중기의문인 이정형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적 관심이 주어짐은 물론, 춘천 지역 문화콘텐츠 확보및 내러티브 확산에도 일정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academic status occupied by Lee Jeong-hyeong (李廷 馨) in Chuncheon (春川) and the motivations of Munamseowon (⽂巖書院) enshrinement through an analysis of his literary activities and later memory patterns.
    Lee Jeong-hyeong grew up with a strong family background and human network, and was recognized for his outstanding talents. He served in various important positions in politics. In particular, during the Imjin War, he played a role in local defense and handling national disasters. He had set up a manor in Cheonjeon-ri (泉⽥⾥), Chuncheon and visited it frequently. Furthermore, in 1597, after his mother's death and the Jeongyu War, he settled there for approximately three years. During this period, he recognized this place as a “healing space” to recover from the heartache caused by war and his mother's death, and an “educational space” where he interacted with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nurtured the next generation. It was also used as a “writing space” that produced his representative historical writings, Hwangtogisa (⿈兎記事) and Suchunjabgi (壽 春雜記).
    As such, Lee Jeong-hyeong formed a deep relationship with Chuncheon for a considerable period and conducted various literary activities. Thus, he was durably remembered by local scholars after his death. Then, in 1612, as the Munamseowon commemorating Lee Hwang (李滉) was built in Chuncheon, the argument that Lee Jeong-hyeong should be enshrined there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local community, before being accomplished in 1677. Thanks to the national recognition of his role and position in the local community, endeavors such as praising him and compiling literary works were carried out later, as well as work aiming to strengthen his image to connect him with Lee Hwang. After going through such a process, he could be deemed one of the scholars representing Chuncheon to this day.
    Lee Jeong-hyeong's literary activity and his commemoration in Chuncheon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an aspect of character memory that has been taken in the local community.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conducted in this article will not only increase the research interest in Lee Jeong-hyeong, but also be helpful in expanding cultural contents and narratives in Chunch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