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世紀 末葉의 韓國語 資料 - 璟興撰 『无量壽經連義述文贊』의 註釋을 중심으로 - (Philological remarks on late 7th-century linguistic annotations written by GyeongHeung[璟興])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08.02
56P 미리보기
7世紀 末葉의 韓國語 資料 - 璟興撰 『无量壽經連義述文贊』의 註釋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결학회
    · 수록지 정보 : 구결연구 / 20호 / 123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승재

    초록

    이 글은 璟興이 撰한 无量壽經連義述文贊에 나오는 각종의 註釋이 7세기 말엽의 韓國語 자료임을 문헌학적으로 논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여기에는 한자의 形音義에 대한 주석이 각각 13개, 53개, 230여개가 나온다. 전체적으로 약 300개에 이르는 주석을 경흥보다 시기적으로 앞서는 중국 텍스트의 주석과 대비해 본 결과, 과반 이상이 경흥이 독자적으로 기술한 것임이 증명된다. 중국의 텍스트에서 그대로 인용 전재된 것이 아니라 경흥이 직접 독자적으로 기술한 것임이 분명하므로, 이 각종 주석을 7세기 말엽의 한국어 자료라고 하여도 어긋날 것이 없다. 이 논의에 따르면 7세기 말엽에는 이미 한국에서 사서의 일종인 음의가 저술되었다고 할 수 있다.각종 주석 중에서도 字音을 反切로 기록한 것이 특히 주목된다. 이 반절 중에는 독자적인 것이 적지 않은데, 이것은 7세기 말엽의 한국 漢字音을 독자적으로 반영한 것임을 뜻한다. 이것은 고대 한국 한자음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음운론적으로는 동일하더라도 反切字 표기가 중국의 표기와 다른 것이 적지 않다. 이들의 대부분은 한국의 전통적인 借字表記法 특히 향찰에서 音借字로 두루 쓰이던 것들이다. 이것은 7세기 말엽에 이미 향찰을 비롯한 차자표기법이 이미 정착되어 있었음을 암시한다.

    영어초록

    The commentary on the Sutra of Eternal Life(無量壽經), written by GyeongHeung[璟興] during the Silla[新羅] dynasty at the end of the 7th century, contains hundreds of annotations to Chinese characters or words. A philological comparison between the annotations made by GyeongHeung and those of previous Chinese scholars demonstrates that up to 50 percent of the annotations of GyeongHeung originate not from Chinese sources but from his own description. This fact leads us to assume that his annotations should be regarded as a kind of source for a linguistic description of ancient Korean.
    Among his annotation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he describes the pronunciations of a total of fifty-three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fanqie[反切] spelling system, which indicates the onset and rhyme of an unknown Chinese character. It is important that he does not maintain the fanqie spellings of Chinese texts in some cases, even when his pronunciation is phonologically identical to that of Chinese fanqie spelling. Such a disagreement in fanqie spelling can only be explain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Korean traditional writing systems, such as Hyangchal[鄕札], Idu[吏讀], and Kugyol[口訣], in which GyeongHeung's unique spellings had already been in ordinary use. In addition, it can be supposed that his unique description of fanqie spellings originates from his own observation of the Korean phonological system, and that his fanqie spelling samples will play a critical role in reconstructing the phonological system of ancient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