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말기 중앙 귀족의 변천과 왕권 - 문헌 자료의 재해석과 금석문 자료를 이용한 새로운 이해 - (Changes of Central Nobles and Kingship in the Late Baekje Kingdo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4
37P 미리보기
백제 말기 중앙 귀족의 변천과 왕권 - 문헌 자료의 재해석과 금석문 자료를 이용한 새로운 이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9호 / 119 ~ 155페이지
    · 저자명 : 김영관

    초록

    이 논문은 새로이 발견된 금석문 자료와 기존 자료의 재해석을 통해 백제 말기 왕권과 대성팔족으로 대표되는 귀족세력의 변천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대성팔족으로 통칭되는 귀족세력은 사비시대 백제를 대표하는 정치세력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계속해서 중앙귀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던 것은 아니다. 무왕 즉위 초기까지만 해도 대성팔족의 존재는 분명했다. 그러나 무왕 즉위 초기부터 벌어진 신라와의 아막산성 전투 이후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 대성팔족 중 아막산성 전투를 이끌었던 解氏를 비롯하여 劦氏, 眞氏, 木氏 세력은 중앙정치무대에서 사라졌고, 燕氏, 國氏, 苩氏, 沙氏만이 세력을 유지하였다. 대성팔족 중에서 사씨 세력은 무력을 바탕으로 성장하여 무왕 재위 후기에는 왕비족이 되었다. 그리고 의자왕대에도 왕권과 결탁하여 내내 중앙 귀족세력으로서의 지위를 잃지 않았다. 대성팔족의 몰락을 계기로 더욱 세력을 확장한 것은 왕족인 부여씨였다.
    의자왕이 즉위한 후에는 왕실 내부에서도 세력의 분화가 일어나 국왕을 중심으로 한 왕실 직계가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또한 대성팔족 역시 연씨와 백씨 등이 도태되고 사씨와 국씨만이 중앙귀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결국 백제말기에는 사씨와 국씨를 제외한 다른 귀족세력들은 크게 약화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changes of nobles and kingship in the late Baekje Kingdom seen through monumental inscriptions lately discovered and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materials. The nobles, commonly known as Daeseongpaljok(Great Eight Families) 大姓八族, were political power group of Baekje during Sabi 泗沘 Era(538-660 C.E.). However, they were not able to continue their status as central nobles until their country fell. They had to experience big changes of their status after the battle at Mt. Amak fortress 阿莫山城 with Silla broken out in the beginning of King Mu's reign(r. 600-641 C.E.).
    Among the Great Eight Families, Hae clan 解氏 who leaded the battle, clans of Hyeop 劦氏, Jin 眞氏, and Mok 木氏 disappeared from the central political stage ; only clans of Yeon 燕氏, Guk 國氏, Baek 苩氏 kept their status. Sa clan 沙氏 promoted their influence depending on their military force and produced a queen in the late reign of King Mu 武王. They did not lose their status as the central noble in reign of King Uija(r. 641-660 C.E.) 義慈王 by colluding with the royal authority. Buyeo clan 扶餘氏, the royal family, acquired influence with collapse of the Great Eight Families.
    After King Uija acceded to the throne, royal might was also divided and the lineal descendant of the royal family with the king as its center was in control of political situation. Among the Great Eight Families, Yeon and Baek clans fell behind and only clans of Sa and Guk maintained their status as central nobles. In the late Baekje all the Great Eight Families except for Sa and Guk clans lost their status as the central nobles and were degraded to local influence at l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