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 보이는 ‘양면성’ 해명 시론 - ‘尊德性’ vs ‘道問學’ 문제를 매개로 (On the Duality of Ryu Seong-ryong’s Approaches to Yangming Learning: “Honoring the moral nature” vs.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11
45P 미리보기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 보이는 ‘양면성’ 해명 시론 - ‘尊德性’ vs ‘道問學’ 문제를 매개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애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애연구 / 6권 / 149 ~ 193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초록

    이 논문은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 문제를 매개로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 보이는 ‘양면성’ 해명을 위한 시론이다.
    종래의 연구에서 류성룡이 한편으로는 양명학을 ‘긍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양명학을 ‘부정’하는 상반된 이해를 두고 논란이 일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류성룡에게 왜 이러한 문제가 야기되는지 그가 이해한 <주자학의 ‘도문학’ 경향> 과 <양명학의 ‘존덕성 경향>을 대비해보는 식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류성룡은 존덕성, 도문학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지 말 것을 강조한다.
    그 근거는 중용의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움에 말미암는다[尊德性而道問學]’ 라는 구절이다.
    둘째, 존덕성과 도문학은 불가분의 관계이지만, 존덕성이 본질이고 도문학은그 실현을 위해 수반되는 것임을 분명히 한다. 존덕성은 공부의 기초이자 방향성(=아젠다)이고, 도문학은 그 존덕성을 위한 실제적 로드맵으로 이해한다. 즉류성룡은 중용에서 하필 ‘묻고 배움에 말미암고, 덕성을 높인다’라 하지 않은점에 주목하고,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움에 말미암는다’라고 말한 점을 그대로 수용한다. 그래서 ‘존덕성’(ⓐ)에 근본을 두고 ‘도문학’(ⓑ)을 실행하는 방법을 취한다. ⓐ와 ⓑ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둘 다 중시되어야 하나, ⓐ는 공부의기초이자 방향성(아젠다)이고, ⓑ는 (존덕성을 실현하기 위한) 현실 경험 세계의 로드맵으로 이해한다. 존덕성=도문학(ⓐ=ⓑ)이 아니라 도문학이 존덕성에포함되는(ⓐ⊃ⓑ) 관계이다.
    셋째, 류성룡은 ‘존덕성’을 중시하는 ‘심학’에 중심을 둔다. 이를 토대로 ‘격물치지’를 내용으로 하는 ‘도문학’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존덕성, 도문학에 선후 관계는 있지만 양자는 상호보완적으로 불가분의 관계임이명시한다.
    이렇게 류성룡이 존덕성, 도문학의 위상을 이해하는 방식이 곧 양명학과 주자학을 이해하는 태도로도 연결되고 있다. 그래서 류성룡은 양명학은 주자학의‘격물치지’ 같은 도문학적 측면에 소홀하고, 주자학은 양명학의 ‘치양지’ 같은존덕성적 측면에 소홀하다는 식으로 논의를 이끌게 된다. 이 점이 바로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서 ‘양면성’을 드러내는 요인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resolve the problem of duality in Ryu Seong-ryong’s approaches to Yangming Learning by addressing the classic tension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 (zun dexing)”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dao wenxue).” Scholarship to date has shown that Ryu Seong-ryong endorsed Yangmin Learning on the one hand, and denied its legitimacy on the other. With regard to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ains that it arose from the classic tension between Zhu Xi’s emphasis on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and Wang Yangming’s emphasis on “honoring the moral nature.” This article argu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Ryu Seong-yong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referring to its locus classicu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Second, Ryu Seong-ryong makes it clear that, although inseparable, “honoring the moral nature” should be primary,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should be considered secondary as the practical method of honoring the moral nature. “Honoring the moral nature” is the purpose of learning and, therefore, sets the direction of moral self-cultivation;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is the practical road map for “honoring the moral nature.” Ryu Seong-ryong heads the sequence in which the two are stat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instead of vice versa.
    In this view, Ryu arguest that the former should be the basis on which the latter could be achiev ed. ⓐ sets the direction of learning and its ultimate goals, and ⓑ is the road map of the empirical world one should follow ⓐ=ⓑ but as ⓐ⊃ⓑ.
    Third, Ryu takes seriously the Learning of the Mind which emphasizes “honoring the moral nature.” Based on such premise, Ryu also emphasizes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which begins with the inv estigation of things. In this regard, honoring the moral nature precedes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howev er, in fact, the two are inseparable.
    In this way, Ryu Seong-ryong understands the relation between Zhuzi Learning and Yangming Learning. Speaking of Zhuzi Learning, Ryu points out its weakness in terms of “honoring the moral nature”; speaking of Yangming Learning, he points out its neglect of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In this way, this article explains the apparent duality of Ryu’s approaches to Yangming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