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 미인의 형성과 화문(畵文)의 모더니즘-한국 근대 장편소설과 안석주의 신문삽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Beauty and Literary-Visual Modernism-Korean modern novels and Ahn Seok-ju’s illustra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08
29P 미리보기
한국 근대 미인의 형성과 화문(畵文)의 모더니즘-한국 근대 장편소설과 안석주의 신문삽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8호 / 123 ~ 151페이지
    · 저자명 : 권은

    초록

    이 글은 한국 근대소설의 발전 과정에서 소설 삽화가 작품 속 인물의 외양 묘사 및 성격 형상화에 미친 영향 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안석주가 삽화를 담당한 신문연재 소설 속 ‘미인(美人)’ 여성 주인공의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삽화는 단순히 소설의 내용을 보완하는 그림이 아니다. 소설에서 삽화가 등장함에 따라 소설을 읽는 과정뿐 아니라 쓰는 과정에서도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독자들은 삽화가 등장한 이후 소설의 내용과 삽화 이미지를 교차하여 비교하면서 소설을 읽기 시작했고, 작가들은 삽화 못지않게 정교하고 세밀하게 인물과 주변환경을 묘사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삽화는 소설의 리얼리즘이 형성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런 점에서 소설가와 삽화가는 협력적인 관계이면서 동시에 경쟁적인 관계이기도 했다.
    미인도(美人圖)는 한 사회의 이상화된 여성을 그린 그림에 가깝다. 그런 점에서 미인은 단순히 한 개인의 취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기 한 집단의 이상적인 미의식이 반영된 인간상이라 할 수 있다. 신문연재소설의 삽화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던 시기는 서구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미의식 혹은 미적 기준이 형성되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미인’은 언어적 차원과 이미지적 차원의 두 개의 미학 체계를 기반으로 형성된다. 미인을 언어로 설명하게 되면 그 이미지를 머릿속에 구체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것이 쉽지 않고, 미인을 이미지로 표현하면 미인임으로 직관적으로 알 수 있지만, 그것을 언어로 설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신문연재소설의 삽화 속 ‘미인화’는 구체적이고 일관된 등장인물에 대한 언어적 묘사와 다양한 삽화가 어우러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삽화 없이 연재된 이광수의 『무정』에서는 영채와 선형 등이 미인으로 설정되었을 뿐 구체적인 외양이 묘사되지 않았지만, 이후의 작품들인 『재생』이나 『흙』등에서는 점차 미인 여성인물들의 외양이 구체적으로 그려지지 시작했다. 1930년대부터 서구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의 새로운 ‘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외래적인 기준을 따른 ‘미’는 실제 현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충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염상섭의 『광분』은 양장미인을 중심으로 근대와 전근대, 서구와 전통의 충돌과 파국을 다룬 작품이라 할 수 있고, 이광수의 『그 여자의 일생』은 조선과 일본의 미의식이 뒤섞이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상과 박태원 등의 작가들은 소설뿐 아니라 삽화도 직접 담당했던 작가들로 글과 그림이 혼합되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화문(畵文)의 모더니즘’의 특성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llustrations on the characterization of characters in the work dur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novels. We would like to focus on the reproduction of the ‘beauty’ female protagonist in the roman-feuilleton illustrated by Ahn Seok-ju. An illustration is not just a complement to the literary texts. With the advent of illustrations in the novel, there was a big change not only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novel but also in the process of writing it. After the illustration appeared, readers began to read the novel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novel and the images of the illustrations, and writers began to try to describe the character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elaborate and detailed as the illustrations. Illustration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realist novels. In this regard, novelists and illustrators were both cooperative and competitive.
    The paintings of beauties is more of a picture of an idealized woman in a society. In this regard, beauty is not simply determined by an individual’s taste, but rather reflects the ideal aesthetic of a group at a certain time. The time when illustrations of the roman-feuilleton appeared in earnest was when new aesthetic or aesthetic standards, influenced by the West, began to form. The beauty is formed based on two aesthetic systems: linguistic and imaging. If you explain beauty in language, it is not easy to think of the image in detail in your head, and if you express beauty as an image, you can intuitively see it as beauty, but it is not easy to explain it in language. In this regard, the ‘beauty’ in the illustrations of the roman-feuilleton is important in that it combines linguistic descriptions of specific and consistent characters and various illustrations.
    Lee Kwang-soo’s Mujeong, published without illustrations, did not depict the appearance of the portrait and linearity, but later works such as Jaesaeng and Soil gradually began to depict the appearance of beautiful female characters. Since the 1930s, discussions on Korea’s new ‘beauty’ have been active in meeting Western standards. However, the beauty according to foreign standards often conflicts with actual reality. Yeom Sang-seop’s Kwangboon is a work that deals with the conflicts and catastrophes between the Western and the traditions and Lee Kwang-soo’s The Woman’s Life shows a mixture of Korean and Japanese aesthetic. Writers such as Lee Sang and Park Tae-won are those who were directly in charge of illustrations as well as novels,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visual moder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