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山의 『中庸講義(補)』 條對 내용 분석: 正祖 『經史講義·中庸』 御製條問 및 기타 條對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Philosophical Analysis of Jeong Yag-yeong's Replies to Jeongjo's Questions in 『Jungyong gangui』: In comparison to the part of 『Jungyong』 of 『Gyeongsa gangui』)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9.09
50P 미리보기
茶山의 『中庸講義(補)』 條對 내용 분석: 正祖 『經史講義·中庸』 御製條問 및 기타 條對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47호 / 399 ~ 448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본 논문은 다산 『중용강의보』에 기록된 다산 초년의 條對와 정조 『경사강의』에 수록된 御問 및 다른 講員들의 條對를 상호 비교한 것이다. 정조는 『중용』 1장의 天命之性 및 率性을 해석하면서 工夫論을 함축한 대목으로 이해했는데, 이 같은 정조 질문에 다른 강원들은 모두 주희 『장구』대로 답하면서 비판했지만 당시 태학생 신분이었던 다산은 오히려 정조와 유사한 답안을 내놓았다. 뿐만 아니라 未發에 대해서도 정조는 喜怒哀樂이 없을 뿐 思慮云爲는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역시 다산의 입장과 유사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용』의 鬼神에 대한 해석, 至誠과 聖人의 성격에 관한 논의에서는 오히려 노․소론계 학인들과 정조 입장이 유사했던 반면, 다산의 견해는 당시로서는 매우 이질적인 것이었다. 사실 『중용』에 대한 다산의 독특한 관점은 초년에는 이벽을 통해 西學을 접하면서 형성된 측면도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그보다는 정조와의 경전에 대한 講論에서 엿보이는 학문적 영향 관계에 주목해서 논의를 전개했다. 다산은 다른 강원과는 분명히 다른 입장을 표명하면서도, 유독 정조와는 비슷한 성격의 주장을 피력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기존에 정조와의 관련성을 해명한 논문도 물론 있었지만, 經史講義 중에 나타난 『중용』에 관한 철학적 입장을 직접 비교한 경우는 없었기에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해명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Jeong Yag-yeong(丁若鏞, 1762-1836)'s philosophical standpoint by comparing it to the those of the factions of Lo (老) and So (小) from those days. When Jeongjo (正祖, 1776-1800) read the first passage of 『Jungyong』, he believed that it was a discussion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ut most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disagreed and argued that the passage was about the ontological theory of human nature. Jeong Yag-yeong was the only one who agreed with Jeongjo on the matter. Furthermore, Jeongjo agreed with Jeong Yag-yeong that the concept of mibal (未發) denoted the such states of mind as thinking and action exclusive of emotional states as hino aelak (喜怒哀樂). However Jeongjo disagreed with Jeong Yag-yeong on the interpretation of several issues about 『Jungyong』 such as guisin (鬼神), jiseong (至誠), and seongin (聖人). Nevertheless, by comparing Jeong Yag-yeong with Jeongjo and scholars from the factions of Lo and So, we can trace the peculiarity of Jeong Yag-yeong's thought through the complex and dynamic debates of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