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光海君代의 佛事 연구- 안동 仙刹寺 목조석가불좌상 造成發願文을 중심으로 (A Study on Buddhist Services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in Joseon - With a focus on the document for praying wishes to commemorate the Wooden Buddha Statue of Seonchal Buddhist Temple in An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3
40P 미리보기
조선 光海君代의 佛事 연구- 안동 仙刹寺 목조석가불좌상 造成發願文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7호 / 79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미경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光海君代 佛事 연구의 일환으로 안동 仙刹寺 목조석가불상의 造成發願文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이 조성발원문은 1622년 淸溪寺 齋會와 왕실 內佛堂 역할을 담당했던 慈仁壽 兩寺 佛事와의 상관성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광해군의 불교계 지원의 일단을 짐작케하는 1622년의 불사는, 1) 청계사 齋會, 2) 3월의 『妙法蓮華經』 전 7권 개판, 3) 5월의 慈壽寺와 仁壽寺 兩寺의 佛事, 4) 7월에 해인사 藏經版殿 重修 佛事 등이다. 이 중 청계사 재회와 『妙法蓮華經』 개판은 광해군이 직접 관여한 불사이고, 慈壽寺와 仁壽寺 兩寺의 불사 및 해인사 장경판전의 중수 불사는 광해군비인 章烈王妃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더욱이 이들 불사에 벽암 각성이 빠짐없이 참여하고 있어, 광해군과 부휴계 문도와의 지속적인 교유를 통한 불교계 지원의 일단을 알 수 있었다.
    광해군의 재위 연간은 어둡고 문란한 시대라는 昏朝라고 매도되었지만, 전란 중에 세자로 책봉되면서 分朝 시기는 물론 재위 16년 동안 격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전후 문화 복구사업에 힘을 기울인 것으로 재평가되기도 한다. 광해군의 불교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우호적이였으며 전후 복구지원 및 승려들과의 교유도 깊었다. 특히 조선후기 불교계를 주도한 浮休善修와 같은 禪僧과 그의 문도인 碧巖覺性․孤閑熙彦 등과 교유하면서 자신의 능침사찰인 封印寺에 사리를 봉안하고, 세자의 원찰인 淸溪寺에서 齋會를 시설하였다. 그리고 1622년 淸溪寺 齋會를 직접 설행하면서 그해 3월 『妙法蓮華經』을 開板하였고, 5월에는 광해군비인 章烈王妃가 慈壽寺와 仁壽寺 兩寺의 불사를 후원하였다. 이때 불상 11구와 불화 7점을 조성하였으며, 이 가운데 3구가 발견되었고 그중 1구가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불상이다. 이들 불상에는 3월 개판된 『법화경』과 <왕비유씨저고리>를 불복장에 넣었다. 또 7월의 해인사 藏經版殿 重修佛事에도 장열왕비의 후원 하에 왕실 비빈을 비롯한 상궁, 비구니 등의 대거 참여로 왕실의 후원은 지속되었다.
    본고는 광해군 시대 佛事의 일환으로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불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하여 광해군 시대 왕실의 불사 후원과 불교계 지원 사례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1622년의 조성발원문을 중심으로 淸溪寺 齋會와 慈仁壽 兩寺의 불사에서 조성된 불상과 불화 사례를 조명하였고 이를 통해 왕실 불사의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Buddhist services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in Joseon with a focus on the document for praying wishes written to commemorate the wooden Buddha statue at Seonchal Buddhist Temple in Andong. The document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to shed light on correlations between the Jaehoi of Cheonggye Buddhist Temple and the Buddhist services of both Jasu and Insu Buddhist Temples , which was in charge of Buddhist shrine at the royal court, in 1622. There were four Buddhist services held in 1622 to estimate an aspect of King Gwanghaegun's support for the Buddhist community: 1) Jaehoi of Cheonggye Buddhist Temple, 2) revision of entire seven volumes of Myobeopyeonhwayeong, 3) Buddhist services of both Jasu and Insu Buddhist Temples in May, and 4) Buddhist service to commemorate the repair of Janggyeongpanjeon at Haein Buddhist Temple in July. King Gwanghaegun himself got involved in the first two Buddhist services, and his wife Queen Jangyeol sponsored the last two Buddhist services. Furthermore, Byeokamgakseong's perfect attendance at those Buddhist services indicates that the king maintained his associations with the disciples of Buhyu.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is usually denounced as "Honjo," which refers to a dark and disorderly era. Once he was installed as the crown prince during the war, however, he endeavored to restore the nation's culture 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s for 16 years when he was on the throne as well as during the Bunjo period according to a new evaluation of the king. He mostly had a favorable perception of Buddhism, offering supports for the restoration of Buddhist community after the war and forming deep associations with Buddhist monks. He, in particular, maintained his associations with Zen priests like Buhyuseonsu, who led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latter half of Joseon, and his disciples including Byeokamgakseong and Gohanheeeon, enshrining his Sari at Bongin Buddhist Temple, which was his Neungchim Buddhist Temple, and holding Jaehoi at Cheonggye Buddhist Temple, which was Wonchal for his crown prince. In 1622, he personally served at the Jaehoi of Cheonggye Buddhist Temple and ordered the revision of Myobeopyeonhwayeong in March. In May, his wife Queen Jangyeol sponsored the Buddhist services at both Jasu and Insu Buddhist Temples with 11 Buddha statues and seven Buddhist paintings created and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Beophwagyeong and Wangbiyussijeogori inserted for the occasions. In July, there was a large attendance at the Buddhist service to commemorate the repair of Janggyeongpanjeon at Haein Buddhist Temple including the queen, royal concubines, and court ladies at the royal court and Buddhist nuns, which suggests that the sponsorship of royal court continued.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royal court's sponsorship for Buddhist services and support cases for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rule of King Gwanghaegun with the document for praying wishes discovered in the wooden Buddha statue at Seonchal Buddhist Temple in Andong as one of Buddhist services during his reign. The findings help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Buddhist services by shedding light on the Jaehoi of Cheonggye Buddhist Temple with a focus on the document for praying wishes and the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a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created for the Buddhist services at Jasu and Insu Buddhist Temples in 1622.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