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치지(致知)와 성의(誠意)의 개념적 관련성 고찰-<대학장구>와 <대학혹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ceptual Relations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and Sincerity in and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0.02
18P 미리보기
치지(致知)와 성의(誠意)의 개념적 관련성 고찰-&lt;대학장구&gt;와 &lt;대학혹문&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34권 / 1호 / 229 ~ 246페이지
    · 저자명 : 정지연

    초록

    본고는 『대학』의 치지(致知)와 성의(誠意)의 개념적 관련성을 주희(朱熹)의 『대학장구』와 『대학혹문』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식과 도덕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치지는 격물(格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나의 지적 활동으로, 사물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나의 앎을 지극히 하는 활동이며, 나를 둘러싼 세계의 현상적 법칙과 그 법칙대로 되어야만 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이해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에 대한 이해이며,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원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격물・치지는 이미 알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며, 그 누적을 바탕으로 다른 영역에 대하여 유추할 수 있다.
    치지의 다음 단계인 성의는 마음이 발하는 바에서 선(善)과 악(惡)이 갈리는 도덕의 첫 관문이다. ‘뜻을 참되게 한다’는 성의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것을 진실로 행하는 것이다. 뜻이 참되어지면 스스로 흡족하게 되는데, 이러한 흡족함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사람의 본성과 일치되기 때문이다. 치지가 잘못되었을 경우 성의는 결코 기대할 수 없으나, 성의를 위해서는 치지뿐만이 아니라 성의만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성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마음이 발하여 의도가 일어날 때 그 기미를 살펴야 한다.
    선을 좋아하고 악을 제거해야 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지극한 앎은 마음이 발하는 바의 참됨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뜻이 참되어지기 위해서는, 뜻을 우리의 선한 본성에 대한 앎에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성의가 잘못되었을 때 치지는 그 조회처(照會處)로서 기능한다. 지식은 도덕에 문제가 일어났을 때 그 사태를 시정하는 기준이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knowledge and morality by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relations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致知) and sincerity(誠意) in Chu Hsi(朱熹)′s 『Great Learning Chapters(大學章句)』 and 『Question and Answer of Great Learning(大學或問)』.
    The extension of knowledge defined as intellectual activity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and understanding of the law and reason of things which exist in the world around u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ctivity is to understand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The activity should be conducted with existing knowledge, accumulated and continued. The inference is its effect.
    Sincerity(誠意) is the next clause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It is the first gateway of morality in regard to the division of good and evil. Sincerity is defined as removing evils by doing genuine good. Pleasure can be derived in this state not because of the result, but because of human nature. Sincerity cannot be expected in the case the extension of knowledge goes wrong. To determine sincerity, the inner self must be examined with careful examination of intention at the time.
    The extension of knowledge can not guarantee sincerity. Sincerity requires the effort to follow the point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in addition to the achievement to the extension of knowledge. The role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in regard to sincerity is the standard to correct the insincerity. Knowledge works as the standard for correcting immor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