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신앙내용과 제작 주체: 발원문 내용의 검토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Beliefs and Main Planner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Medicine Buddha) Statue in Janggoksa Templ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12
21P 미리보기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신앙내용과 제작 주체: 발원문 내용의 검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29호 / 29 ~ 49페이지
    · 저자명 : 최연식

    초록

    본고에서는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물 중에 확인된 발원문 및 발원묵서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 불상의 조성 상황 및 당시의 약사신앙의 구체적 내용, 그리고 본 불상 조성의 중심인물인 親傳師 白雲의 실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발원문 내용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본 불상이 白雲이라는 승려의 주도하에 그를 따르는 僧俗의 제자들에 의해 조성되었고, 특히 忍謙이라는 승려가 시주 모집을 주도하였으며, 洛浪郡夫人崔氏를 비롯한 여러 僧俗人들이 시주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발원문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 발원 내용으로 볼 때 당시 본 불상 조성에 참여한 사람들은 개인의 長命과 극락정토에의 왕생을 가장 적극적으로 소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불상의 발원문들에서 長命과 淨土왕생의을 주로 기원하고 있는 것은 기존에 알려진 신라와 고려시대의 약사신앙 관련 기록들에서 주로 개인의 治病이나 국가・사회적 위기의 해소가 기원되고 있던 것과 비교할 때 본 불상 발원문들에 보이는 長命과 정토왕생의 기원은 특이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불상의 발원문들은 고려시대 약사신앙의 가장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 고려인들이 약사여래에 대해 생전과 사후의 중요한 어려움을 의지하는 친근한 신앙 대상으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불상의 조성을 주도하고 발원문을 작성한 親傳師 白雲은 고려말의 대표적 看話禪師로서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白雲景閑으로 추정된다. 백운경한의 경우 기존에는 주로 50대 이후의 간화선사로서의 행적만 알려져 있었지만 이 자료를 통하여 간화선사로서 활동하기 이전의 백운경한의 행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who took the initiatives in the creation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Statue of Janggoksa temple and what they and the other participants expected for projects. According to the main petition made by Master Baeg’un and other short prayers of other lay people found inside the statue, Master Baeg’un moved the creation and his clerical and lay followers carried it out successfully. Especially the monk In’gyeom played a key role in collecting the donations, and among more than one thousand participants Mrs. Choe of Nakrang County was most important contributor.
    The participants hoped to get the longevity and the rebirth in the Sukhāvatī, the paradise of Buddha Amitabha. Usually Buddha Bhaisajyaguru was thought to be the reliever of the diseased, but there is no mention of healing in the petition and prayers. As the longevity and the rebirth in the Sukhāvatī are the most serious hopes for the people, we can infer that Buddha Bhaisajyaguru was regarded as most close Buddha who could be relied on both during and beyond the life.
    Master Baeg’un who initiated the project and also wrote the main petition is thought to be ‘Baeg’un Gyeonghan,’ one of the famous Three Chan Masters who established the Kanhua-Chan tradition in Korean Buddhism in the latter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Despite of his fame and importance, any earlier activity of Baeg’un Gyeonghan before 50 year old is not known. The materials found in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might be used to show his early activities, when he was not fully dedicated to the Kanhua-Chan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