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북한과 소련의 미술 교류 -1945~1953년간 북한문예지 미술 비평 텍스트를 중심으로- (Artistic Interchanges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from 1945 to 1953)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1.08
32P 미리보기
초기 북한과 소련의 미술 교류 -1945~1953년간 북한문예지 미술 비평 텍스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중소연구 / 35권 / 2호 / 199 ~ 230페이지
    · 저자명 : 홍지석

    초록

    이 글에서는 1945년에서 1953년에 이르는 기간, 북한에서 발표된 미술비평 문헌들을 중심으로 소련과 초기북한미술의 교류 양상을 검토한다. 초기 북한미술의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북한과 소련의 미술교류다. 이 시기 북한미술은 소련미술에 대한 학습과 체화를 통해 변화와 성장의 동력을 얻었다. 당시 북한미술가들은 소련미술을 학습하는데 열중했고 이를 통해 미술에서 낡은 과거의 잔재를 청산하고 사회주의로 지칭되는 새롭고 보편적인 미술의 흐름에 동참하고자 했다. 초기 북한 미술은 제작태도, 작가관, 작품의 형식과 내용, 제도, 미술사 서술의 전 영역에서 소련 미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결과적으로 북한미술의 소련미술 학습과 체화는 유럽(소련)중심의 미술 이론과 개념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양상을 띠게 됐다. 말하자면 그것은 서구중심적인 레드오리엔탈리즘(red orientalism)의 틀에서 진행된 타자화의 성격을 갖는다. 물론 이 기간에 북한미술계가 전통 내지는 민족미술을 도외시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당시 북한미술계의 전통, 민족형식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소비에트 문예이론이 허용하는 틀에서 행해졌다.
    1950년대 중반 이후 북한미술담론에서 형성기 소련에서 받은 영향은 점차 지워지게 됐다. ‘우리식’을 강조하는 주체사상은 소련으로부터의 영향보다는 내재적 발전논리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5년에서 1950년대 초에 북한미술에 미친 소련미술의 영향은 오늘날 북한미술의 형성에 절대적인 의의를 갖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사회주의리얼리즘이 요구했던 ‘전형성’과 ‘낙관성’은 이후 북한미술의 내용과 형식에(과도하다고 할 정도로) 철저하게 관철됐다. “사람들의 생활과 투쟁을 묘사한 인물화”를 그려야 한다는 소위 주체시대 김일성의 발언 역시 그 기원을 소련 사회주의리얼리즘에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효율과 효과, 정량화된 성과를 중시하는 기술자로서의 예술가상 역시 소련의 영향 아래 있던 초기북한미술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렇듯 형성기 북한미술을 소련과의 관련에 초점을 두어 관찰하는 일은 그것을 하나의 세계사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해준다. 즉 북한미술의 형성과정은 당시 세계를 반분하던 두 세계 중 하나에서 일어났던 거대한 미술사적 흐름의 하나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artistic inter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from 1945 to 1953 by analyzing the art critic texts published in the North Korea during the same period. This time, North Korea art had got the power of change and growth through learning and assimilating the Soviet Union art. North Korean artist of that time had considered the Soviet Union Art as the new and universal art suitable for the new socialist country. As a result, Early North Korea art had resembled Soviet Union art in all related fields - concept of art(and artist), art institutions, form and content of art work, cognition of traditional art etc. Interest about North Korea’s unique or national art tradition had been kept even in so far as Soviet Union art discourse permits.
    Since the late 1950’s, the effects of Soviet Union art was removed gradually in the North Korea. Because Juche theory emphasizing ‘Our way’ took the position which lay stress not on the effects of Soviet Union art but on the internal progression of North Korean Art. However If we examine North Korea art from the whole viewpoint, the effects of Soviet Union in the formation period of North Korean Art are important and crucial. First of all, ‘Typicality’ and ‘Optimism’ had required by the social realism of Soviet Union been accomplished thoroughly or excessively in content and form of North Korean art after 1960’s. And the ideas about art such as “Artist have to describe life and struggle of people” (Kim Il-Sung) are based on the social realism of Soviet Union. In short,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art need to be understood as the world historical event of the Cold-War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