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절의의 상징과 표현에 대한 연구 -이주환(李柱煥) 순절(殉節) 추도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mbol and Expression of Fidelity -Focusing on the eulogy for the martyrdom of Lee Ju-hwan-)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12
48P 미리보기
절의의 상징과 표현에 대한 연구 -이주환(李柱煥) 순절(殉節) 추도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101호 / 7 ~ 54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본고는 절의 의식이 정점에 도달했던 국권 침탈기에 순절(殉節)한 의사(義士)를 추모하는 글에 표출된 절의의 상징과 표현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그 전형성은 고종의 사망에 자결(自決)로 절의를 표명한 연호(連湖) 이주환(李柱煥)을 애도하기 위해 지은 만사․제문․애사에서 찾을 수 있다.
    ‘상징’은 문화와 인식의 결합 양상 및 문학적 수사를 살펴볼 수 있는 유효한 척도인데, 본고는 이주환의 순사에 대한 상징으로서, 가치 있는 죽음의 상징, 자연물 상징,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대별하였다.
    가치 있는 죽음의 가장 일반적인 상징은 ‘곰 발바닥’이다. 또 ‘부서진 옥’도 같은 상징성을 갖는다. 자연 상징물은 송백(松柏), 송죽(松竹), 철석(鐵石) 등이 대표적이다. 그것들은 시련을 견디며 변하지 않는 성상으로 인해 절의의 상징으로 쓰인다. 그것들은 절의를 의미하는 개념과 착종되어 사용된 예가 있는가 하면 단독으로 사용된 예도 있는데, 형태적으로 볼 때 전자의 문학적 상징성이 떨어진다.
    역사적 인물로 이주환의 순절을 상징한 것은 당시 지식인의 현실 및 역사 인식을 볼 수 있는 척도이다. 이주환의 순절 요소는 ‘외적의 침입’ㆍ‘왕을 따라 죽음’ㆍ‘자결’이다. 그리고 그 토대가 되는 의식은 항거ㆍ고난ㆍ복수(復讐)이다. 그런데 이주환을 추모하는 글에 사용된 역사적 인물 상징 중에 왕조 교체기의 은자인 백이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외침에 항거한 노중련이 그다음 빈도를 보인다. 이는 은거를 절의와 동일시한 당대 의식의 특징을 보여 준다. 길재나 도잠이 상징으로 사용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다.
    외침(外侵)으로 인해 자결을 택한 왕촉ㆍ전횡ㆍ육수부는 이주환의 순절과 가장 상관도가 높기에 적절한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외침으로 피살된 문천상ㆍ이약수나 왕조 교체기에 피살된 정몽주, 정치적 혼란기에 피살된 악비ㆍ비간 등은 이주환과 상관성이 떨어지지만, 충정을 토대로 한 ‘죽음’이라는 점에서 상관성을 갖는다. 반면 예양과 형가는 보은 혹은 복수 행위를 한 협객이나 자객이기에 그러한 인물이 이주환의 순절을 상징한 것은 어떻게 보아야 할지 당혹스럽다. 또 그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2인 이상 조합된 양상을 보인다. 2인 이상의 조합은 주로 대우의 수사법에 기인한 것이지만 상징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저변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인명을 직접 드러내기보다는 대칭(代稱)으로 문학적 상징성을 높이고 있다.
    ‘외적의 침입’ㆍ‘왕을 따라 죽음’ㆍ‘자결’이라는 요소가 일치하는 역사적 인물 간의 조합은 상관도가 매우 높지만, 이러한 예는 많지 않다. 오히려 적절하지 않은 인물 상징의 조합이 다수를 점한다. 이는 관습적 상징 인식에 기인한 현상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symbol and expression of fidelity expressed in writings commemorating the patriotic martyr during the period of national sovereignty invasion when the consciousness of fidelity reached its peak in Korea. Its typicality can be found in the funeral ode, funeral oration, and elegy written to mourn Yeon Ho(連湖) Lee Ju-hwan(李柱煥), who expressed his fidelity by committing suicide upon the death of King Gojong.
    ‘Symbol’ is a valid measure for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combination of culture and perception and literary rhetoric. The symbols of Lee Ju-hwan’s death for loyalty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 symbol of valuable death, a symbol of natural objects, and a symbol of historical figures.
    The most common symbol of valuable death is the ‘Bear’s paw’. The ‘Broken jade’ also has the same symbolism. ‘Pine and nut pine[松柏]’, ‘Pine and bamboo[松竹]’, and ‘Iron and stone[鐵石]’ are representative as natural symbols. These are used as symbols of fidelity due to their unchanging nature that endures trials. There are examples of them being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cept of fidelity, and there are cases of them being used alone, but in terms of form, the literary symbolism of the former is inferior.
    The fact that Lee Ju-hwan’s martyrdom was symbolized by a historical figure is a clear measure of the reality and historical perception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The elements of Lee Ju-hwan’s martyrdom are ‘Invasion by foreign enemies’, ‘Dying following the death of the king’, and ‘Suicide’. And the underlying consciousness is the awareness of resistance, hardship, and revenge. However, among the symbols of historical figures used in the writings mourning and commemorating Lee Ju-hwan, Baek-i(伯夷), a hermit during the dynastic change period, appeared to b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Noh Jung-ryeon, who had resisted foreign invasion.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 which identified seclusion with the fidelity. In the same context, also Gil-jae or Do-jam were used as symbols of historical figures for Lee Ju-hwan’s martyrdom.
    Wang Chok, Jeon Hoeng, and Yuk Su-bu, who had chosen suicide due to foreign invasion, are appropriate symbols because the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Lee Ju-hwan’s martyrdom. On the other hand, Mun Cheon-sang and Lee Yak-su who had been killed by foreign invasion, Jeong Mong-ju who had been killed during the transition of the dynasty, and Ak-bi and Bi-gan who had been killed during the period of political chaos have less of a correlation with Lee Ju-hwan, but they have a correlation in that it is ‘death’ based on loyalty. Meanwhile Ye-yang and Hyeong-ga were swordsmen or assassin who had repaid kindness or had committed revenge, so it is perplexing how to interpret the fact that such figures symbolize Lee Ju-hwan’s martyrdom. Also, although they are used alone, most often appea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people.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people is mainly due to the rhetorical technique of antithesis, but the intention to increase the symbolism lies at the base. Therefore, rather than directly revealing the names of people, it is increasing literary symbolism through antonomasia(代稱).
    The combination of historical figures in which the elements of ‘Invasion by foreign enemies’, ‘Dying following the death of the king’, and ‘Suicide’ match has a very high correlation, but there are not many such examples. Rather, the combination of inappropriate character symbols is the majority. This is a phenomenon due to the recognition of conventional symb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