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星州地域에서의 李文楗과 藝人들의 繪畵創作文化콘텐츠 樣相 (Cultural contents of painting(繪畵) by Mungeun Lee and artists(藝人) at Seongju in the Sixteenth centu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12
34P 미리보기
16세기 星州地域에서의 李文楗과 藝人들의 繪畵創作文化콘텐츠 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8호 / 329 ~ 362페이지
    · 저자명 : 이상주

    초록

    이문건(1494~1567)은 1545년 지금의 경북 星州로 유배를 가서 1567년 그곳에서 죽었다. 이문건은 이 기간 동안 詩書畵의 문예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이는 『묵재일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문건은 유배를 간 지 3년째인 1547년부터 죽기 4년 전인 1563년 까지 지속적으로 회화창작 활동을 했다 비록 그가 유배생활을 하는 처지였지만, 道伯․郡守등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그의 글씨와 그림을 요청했다. 이는 그가 중앙정계의 거물이었으며 詩書畵에 상당한 識見이 있어 가능했던 것이다.
    그는 성주지역에 거주하는 畵工등 藝人들과 연계하여 회화창작활동을 했다. 이문건은 그림을 그리면 화공들이 배접을 하여 마무리했다. 이문건은 자기에게 도움을 주는 화공들에게 쌀․소금․醬 등 생활용품을 주는 등 최소한의 경제적 보상을 해주었다. 이렇듯 이문건을 중심으로 전문가집단의 예술적 기반이 구축되자 당시 이문건의 글씨와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림을 그려달라는 요청을 했던 것이다. 또한 성주인근지방에는 그림을 그려줄 것을 요구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성주지방의 예술문화활동상을 알 수 있다.
    요즘 말로 이문건은 시서화을 토대로 한 문화컨텐츠사업을 가능케했다. 이문건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지금도 지역 문화예술을 융성 발전시키려면, 시서화에 능통한 저명한 인물이 적극적으로 주도하여 활동해야한다는 선례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일기에 자신의 회화창작 관련 일들에 대해 이문건 수준으로 기술한 사례도 현재로는 『묵재일기』가 처음이다. 따라서 이문건의 『묵재일기』는 16세기 개인의 회회창작활동상을 상세히 알 수 있는 보기 드문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문건이 성주지방에서 회화창작활동을 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재능을 가지고 있는 화공등 藝人들과 문화콘텐츠를 구현한 점은 그 문화사적 의의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Lee, Mun-geon(1494~1567)went to banish to Seongju(星州) presently Gyeongbuk in 1545 and he died there in 1567. Lee, Mun-geon was very active in literary activity of poem and picture(Siseohua:詩書畵) during that period. For these we can know through 『Mukjae Journal』. For these we can know through 『Mukjae Journal』. Lee, Mun-geon had continuously activated in painting creation since from 1547 when after 3 years of banishment to 1563 when before 4 years of dying.
    Although, his situation was banishing life, the people in government post such as Dobaek(道伯) county headman(郡守) and so on who had asked his letters and paintings. These can be possible for he was tycoon of center political world and he had knowledge of poem and picture(siseohua).
    He had done painting creation activity infra with painters who had lived in Seongju area. When he had painted, the painters finished by inarching. Lee, Mun-geon had recompensed in minimum economic household items such as rice, salt, and jang(醬) and so on for painters who had helped him. Like this after centering of Lee, Mun-geon the specialist group's artistic base building, at that time the man who had liked his letters and paintings asked his works. And near in Seongju district, we could guess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people who claimed to paint the picture. Through this, we could know arts cultivation activity phase in Seongju area at that time.
    With these days language, Lee, Mun-geon can afford the cultural contents project with based on Siseohua. Through the Lee, Mun-geon's case, we can have as example that famous skillful figure has to lead and act actively in Siseohua in order to prospering and to develop the local cultural arts today. In addition, it is first at present 『Mukjae Journal』 as the case of Lee, Mun-geon level describing about self-painting creation related things. Therefore, Lee, Mun-geon's 『Mukjae Journal』 can be evaluated as the rare data which can know person's painting creation activity in 16 century in detail. Besides, it can be given to evaluate that there is great meaning of cultural history of the point which embodies cultural contents with artists(藝人) such as the painter who has needful talent in painting creation activity in Seongju(星州) district by Lee, Mun-g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