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한국인의 타이완 여행과 인식 시찰기와 기행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aiwan Travels and Recognition of Modern Korean Focus on inspection records and travel essay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09
31P 미리보기
근대 한국인의 타이완 여행과 인식 시찰기와 기행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56권 / 3호 / 293 ~ 323페이지
    · 저자명 : 오태영

    초록

    이 글은 식민지시기 타이완 시찰기와 기행문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근대 한국인의 타이완 인식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간적 실천 행위로서의 여행이 여행지에 대한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의 형성, 자기 정체성 구축의 동력이 되는 점에 착안하여, 실제 타이완 지역을 여행한 조선인들의 여행의 기록에 나타난 타이완 인식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 이전 타이완 시찰기는 타이완 지역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것은 주로 현지를 답사․조사하고, 그곳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집적하는 민족지적 기록물의 전범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시찰이라는 여행의 형식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의 여행자로서의 ‘자기’ 주조는 불가능했고, 제국 일본의 식민 권력에 의해 생산된 타이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재생산하는 보고자의 위치에 머물게 되었다. 한편, 1930년대 타이완 기행문은 1920년대까지의 시찰기에서 보이는 민족지적 서술의 방식을 일정 부분 답습하고 있었지만, 거기에는 여행지에 대한 여행자로서의 낭만적 시선이 또한 내재되어 있었다. 물론 식민지 조선인이 여행이라는 공간적 실천 행위를 통해 여행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보여준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국의 낯선 인종과 풍경에 대해 여행자로서의 엑조티시즘적 시선을 드러냈고, 그것은 시찰의 주체와는 다른 낭만적 주체를 낳는 것이었다. 또한, 식민지 후반기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전쟁 수행에 따라 식민지 조선과 타이완의 위상을 비교해서 타이완에 대해 인식하는 과정 속에서는 타이완의 지정학적 위상을 인정하면서도 제국의 권역 내 조선의 하위에 놓으려는 분열적 감각이 노출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식민지시기 여행기에서 타이완은 제국 일본에 의해 경제적 근대화를 선취한 곳이자 여행자의 낭만적 동경을 자극하는 ‘상하의 땅’으로 여겨지는 한편, 제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권역 내 경제적․군사적 거점으로서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었다. 물론 그러한 인식에는 인종과 민족, 문명과 문화를 기준으로 아시아 지역 내 개별성을 구분하려는 지향, 다시 말해 제국-식민지 체제가 만들어낸 시각 주체의 위계화된 시선이 엄존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aiwan recognition of modern Korean through reviews on inspection records and travel essays in the colonial period. Specially, by taking a notice of a fact that travels as spatial practice behavior became drives of forming spatial recognition and boundary sense on a tourist destination, the study looked into Taiwan recognition that has displayed in traveling records by Joseon people who traveled Taiwan actually. Taiwan inspection records before 1920s has a characteristic of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Taiwan. It follows precedents of ethnographic documentary based on field works that mainly explore and investigate on-sites, and then pile up knowledge and information. However, in the format of travels like inspection, ‘self’ formation as travelers of colonial Joseon people was impossible, and became to be stayed to reporter’s stances who produced information on the on-site by throwing gazes of colonial powers. On the other hand, Taiwan travel essays in 1930s inherently contained romantic eyes as travelers on the destination partly, even though they stick to types of ethnographic narratives having been shown in inspection records till 1920s. Of course, physical conditions that made travels possible were laid in colonial power includi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so colonial Joseon people did not show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positively as travelers through spatial practice behaviors called travels. Nonetheless, exoticism senses as travelers on strange race and scenery of foreign country were exposed, and they were corresponded to producing romantic subjects that were different from inspection ones. In this way, Taiwan was considered as not only a place that preoccupied economic modernization by imperial Japan but also ‘regions of everlasting summer’ which stimulated romantic aspirations of travelers. Undoubtedly, orientations of classifying individuality within Asia regions on the basis of race and ethnics, civilization and culture, in other words, hierarchical eyesight of visual subject having been made by empire-colonial system. Also, it kept limitations in that travel destinations were objected to Taiwan only where this kind of power was unfolded and shown at any time because Taiwan travels of colonial Joseon people could be permitted by the imperialist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세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