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어 담화의 기본 단위 및 흐름문(流水句)의 생성 요인에 관하여 (Analysis of the Basic Units of Chinese Discourse and the Factors of Liushuiju(流水句))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0.07
27P 미리보기
중국어 담화의 기본 단위 및 흐름문(流水句)의 생성 요인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논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논역총간 / 47호 / 331 ~ 357페이지
    · 저자명 : 김현희

    초록

    본고는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1.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의 필요성. 2. 해당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 3. 본고에서 제시하는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에 대한 정의: 담화는 언어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간 및 발화자의 의도/역할/어기/양태 등 화용 통사 범주의 최소 및 차소(次小) 단위를 싣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최소 단위를 “독(逗)”(원래는 ‘读’으로 적음), 차소(次小) 단위를 “구단(句断)”이라 명명한다. 4. 독(逗), 구단(句断)의 음률상의 경계는 운모의 성조가 유지되는 연장의 형태 vs 마지막 운모가 하강 수렴되는 축소형에 묵음 휴지가 이어지는 형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서면 상에서의 문장부호와 대응시켜볼 때, 쉼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이하 쉼표 유형)는 모두 독(逗)과 대응된다. 반면 마침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는(이하 마침표 유형) 준(准) 마침표, 진(眞) 마침표 두 가지로 나뉘는데(杜 1998), 준 마침표는 쉼표 유형과 동일하게 독(逗)으로 실현되고, 진 마침표는 구단(句断)으로 실현된다. 이 둘은 화제 전환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6. 어법 구성 관계로 볼 때, 독(逗)은 구(短語)로 구성되고, 구단(句断)은 영어의 문단에 상응하는 구성을 보인다. 7. 중국어, 영어, 한국어와 비교해 볼 때, 중국어 흐름문의 생성 요인은, 첫째, 중국어에는 주-술 관계를 필수 요건으로 하여 구성되는 절(小句)의 층위에 해당되는 통사 단위가 없다. 둘째, 중국어의 화제와 평언은 통사적으로 볼 때 (독립적으로 독(逗)을 구성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사 혹은 명사와 같은 품사의 속성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한 이보다 상위의 관점인 인지 구조에서 볼 때, 중국어에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특징은 중국어 화자들이 끊임없이 변하는 광활한 세계를 변동이 없거나, 변환되는 현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사건의 연속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1. Necessity of Chinese Discourse Basic Unit. 2. Variou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 3. Definition of basic Chinese discourse unit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iscourse contains the minimum or subordinate units of pragmatic and syntactic categories, such as the time during which language communication takes place and the intent, role, language, and aspect of the speaker. In this paper, we designate the minimum unit as “Dou (逗)” (originally written as “读”) and the subunit as “Juduan(句断)”. The boundary between Dou and Judu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extension of the Yunmu(韵母) to maintain the tone, and the reduction of the last Yunmu (韵母), followed by the silence. The outward appearance in Dou and Juduans written punctuation is: Comma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after comma types) all correspond to Dou. On the other hand, period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inafter, period type) are divided into semi-periods and true periods (杜 1998). Semi-periods are realized as Dou, the same as comma types, and true periods as Juduan. The two also differ in terms of topical change. 6. In grammatical relations, Dou is composed of phrases, and Juduan has a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a group of sentences in English. 7.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Chinese, English, and Korean, the factors that produce Chinese Liushuiju (流水句) are as follows. First, in Chinese, there is no grammatical unit that corresponds to the level of clauses which is made up of subject-predicate relations. Seco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yntactic behavior of verbs and nouns in Chinese topics and statements (whether or not they can independently compose Dou). From a higher level of cognitive structure, the ambiguity between Chinese nouns and verbs is blurring because Chinese speakers recognize the vast and ever-changing world as a series of non-events, a combination of unchanged or transformed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논역총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