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조의 화엄교학의 수용과 비판 - 연기문과 성기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Bojo's Acceptance and Criticism on the doctrine of the Avtamsak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3.08
25P 미리보기
보조의 화엄교학의 수용과 비판 - 연기문과 성기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20호 / 9 ~ 33페이지
    · 저자명 : 인경

    초록

    Bojo's thoughts on the doctrine of Hua-Yen finds in the complete and sudden attainment of Buddhahood. The preceding studies claimed that Bojo criticized the conventional doctrine of chinese Hua-Yen school. They asserted that the representative of chinese Hue-Yen, Hsien-Sheou and Chend-Kuan grasp the dharmadhatu as the conditional origination, on the other side Bojo understanded it the nature-arising theory.
    Bu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Bojo never criticized conventional doctrine of Hua-Yen school. For this purpose, We need the detailed annotation and the texual criticism. The results of these work is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er brings up a discussion appearing in Cheng-Kuan's commentary, all sentient beings are endowed with it(生生自有), each of them is endowed with the future fruition(當果自在), each individual is invested with the fruition immanent in all other beings(他果我在). But this quotations is not find in his works, Hua-Yen Ching Shu and Yen-i Ch'ao. In these text, these alternative appear as all sentient beings equally possess the cause(生等因有), this cause contains the fruition wisdom(因有果智), oneself and others are mutually interpenetrating(他果交徹).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oth concepts are similar but not same.
    Second is Bojo's criticism on the practice method of Hua-Yen school. 'one awakens to the Vairocana dharmadhatu and then cultivates Samantabhadra's sea of practices.' This bojo's quotation also does not find in Hsien-Sheou and Cheng-Kuan's commentary. That is from the Hsien-mi yuan-t'ung ch'eng-fo hsin-yao chi by the Liao dynasty monk Tao-chen Fa-ch'uang.

    영어초록

    Bojo's thoughts on the doctrine of Hua-Yen finds in the complete and sudden attainment of Buddhahood. The preceding studies claimed that Bojo criticized the conventional doctrine of chinese Hua-Yen school. They asserted that the representative of chinese Hue-Yen, Hsien-Sheou and Chend-Kuan grasp the dharmadhatu as the conditional origination, on the other side Bojo understanded it the nature-arising theory.
    Bu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Bojo never criticized conventional doctrine of Hua-Yen school. For this purpose, We need the detailed annotation and the texual criticism. The results of these work is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er brings up a discussion appearing in Cheng-Kuan's commentary, all sentient beings are endowed with it(生生自有), each of them is endowed with the future fruition(當果自在), each individual is invested with the fruition immanent in all other beings(他果我在). But this quotations is not find in his works, Hua-Yen Ching Shu and Yen-i Ch'ao. In these text, these alternative appear as all sentient beings equally possess the cause(生等因有), this cause contains the fruition wisdom(因有果智), oneself and others are mutually interpenetrating(他果交徹).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oth concepts are similar but not same.
    Second is Bojo's criticism on the practice method of Hua-Yen school. 'one awakens to the Vairocana dharmadhatu and then cultivates Samantabhadra's sea of practices.' This bojo's quotation also does not find in Hsien-Sheou and Cheng-Kuan's commentary. That is from the Hsien-mi yuan-t'ung ch'eng-fo hsin-yao chi by the Liao dynasty monk Tao-chen Fa-ch'u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