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兪彦鎬의 悼亡文을 통해 본 18세기 후반 가족문화의 한 양상 (A Study on the Family Culture of the Late 18th Century According to Yoo, Eun-Ho(兪彥鎬)’s Elegi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08
34P 미리보기
兪彦鎬의 悼亡文을 통해 본 18세기 후반 가족문화의 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6호 / 63 ~ 96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민

    초록

    본고는 兪彥鎬의 부인 悼亡文에서 드러나는 부부의 모습을 주목하고 이를 통해 향후 18세기 가족문화사의 실제 및 변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유언호(1730~1796)는 부인 閔氏(1729~1786)가 1786년 5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뒤 3~4년 동안 해마다 부인을 애도하는 글을 지었다. 남편이 아내를 애도하는 글은제문이나 묘지명의 형식으로 쓴 것이 일반적인데 유언호는 「夫人墓誌銘」, 「祭夫人文)」, 「擬告夫人墓文」, 「告夫人墓文」 뿐만 아니라, 「夫人練祭告文」, 「夫人晬日告靈筵文」, 「夫 人遺事」 등 죽은 지 1년 뒤에 지내는 제사(練祭)나 생일(晬日)에도 추모하는 글을 지었고 장편의 遺事도 직접 썼다. 그리고 부인이 아끼던 유품을 찾아 수리하여 사당에올리며 「題夫人舊屛後」를 지어 부인을 애도하였다. 조선시대에 남편이 부인 사후에 이렇게 많은 도망문을 쓴 사례가 흔치 않다는 점에서 유언호의 부인 도망문은 우선 주목을 요한다. 또 그의 부인 도망문은 기존의 제문(연제), 묘지명, 유사 등의 형식을 전형적으로 활용했다 하더라도 내용에서는 관습적인 인식의 틀을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구체적으로 유언호의 부인 도망문은 18세기 후반 사대부가문의 부부가처가와 친정을 대하는 태도는 여성을 “17세기 중반 이후 가부장제의 硬化속에 出嫁 外人의 자리에 있었다”는 관점으로 단일하게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야 함을 보여준다.
    또 유언호 부부가 자녀 양육, 경제 현실, 과거급제, 벼슬살이 등의 일상을 이상과 조화롭게 실천하고자 애를 썼음을 보여준다. 또한 유언호 부부는 몇 차례의 유배를 당한뒤 함께 죽음을 준비하는 삶을 실천한다. 유언호의 도망문은 18세기 후반 사대부가문의부부관계, 가족관계를 좀 더 다양하게 포착하고 해명할 필요가 있다는 단서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s of the 18th-century family culture and its transformation by investigating Yoo, Eun-Ho’s elegies for his deceased wife, Min, focusing on his portrayals of Min and his daughter. Yoo(1730-1796) had written elegies for Min(1729-1786) for 3 to 4 years following her death in 1786 at the age of 58. Typically a husband in the Chosen dynasty would deliver his lament for his departed wife merely with a funeral oration and an epitaph. However, Yoo wrote numerous elegies for Min, including one for her Yeonjae, Suil, as well as long pieces of Yoosa. Yoo also dedicated “Jebuinbyeongmun” along with a relic Min favored, after restoring it. Yoo’s work is exceptional for it is unconventional for Chosen’s husbands to leave a number of elegies for their late wives. Also, Yoo’s work is worth noting, although he had complied with conventional literature forms of funeral oration, epitaph, and Yoosa, the context of Yoo's literature diverged from the traditional values and the ideas of family during his time. Evidently, Yoo’s work challenge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noblewomen’s social status during the late Chosen Dynasty can merely be defined with the ever-strengthening reinforcement of the patriarchal system since the mid 17th century, and the common belief of the time that “once a woman is married, she belongs to the family of her husband, not to her birth-family”. Furthermore, it also challenges to reinvestigate the 18th-century noble family's relationship, both conjugal relationships, and amongst the family members. Yoo’s work was reviewed and criticized by Park, Ji-Won, a seven years younger and dear friend of Yoo’s, as well as by Yoo, Han-Jun, Yoo’s nephew. Yoo’s work collection, “Yeonseok” is indeed unique in its literary form. Both Park, Ji-Won and Yoo, Han-Jun eulogized that Yoo candidly portrayed his sentiments of losing his wife after her depar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