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태동기 한국어 교재의 회화문 분석 - 구성 방식과 표기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lloquial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Modern Quickening Period -Centered organization methods and spelling method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05
28P 미리보기
근대 태동기 한국어 교재의 회화문 분석 - 구성 방식과 표기 방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7권 / 1호 / 133 ~ 160페이지
    · 저자명 : 고경민

    초록

    이 글은 근대적 교육기(1870~1909)에 간행된 한국어 교재의 회화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 태동기의 한국 정세는 국제관계를 비롯해 국내에서의 군란과 정변에 이르기까지 혼란과 변화가 뒤섞인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한국어 교재는 내용에 있어서도 어휘를 대조했던 이전 시기와 달리 문법 교수가 중심이 되어 편찬되었으며, 주로 품사 체계나 용언의 활용에 초점을 두고 발음이나 음운 체계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는 형태로 간행되었다. 문법과 더불어 회화를 위한 교재도 등장해 주제별, 단원별로 회화문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도 이 시기 교재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시기 간행된 14종의 교재를 회화부의 표기 방식과 대화문의 구성 방식으로 나눠 살펴보고, 이전 시기 및 이후 시기와의 연관성을 찾고자 한다. 특별히 이 글에서는 그동안 주된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역대문법대계』에 실린 교재와 더불어 일본국회도서관에 소장된 회화 중심의 한국어 교재를 살피는 데 중심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 시기의 전반적인 특성과 더불어 이 시기 간행된 교재의 특징을 일별하였고, 3장부터는 선정된 교재의 회화문의 구성 방식을, 4장에서는 회화부의 표기 방식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colloquial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1870~1909). During the modern quickening era, the situation of Korea was mixed with the chaos and changes not onl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ut in the domestic insurrection of troops and political upheaval.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is period concentrated on grammar teaching, in contrast to the earlier period to compare vocabularies, and added explanations about pronunciation or phonology, focusing on the system of parts of speech or the pleonastic use, mainly. The appearance of textbooks which were designed not only for grammars, but also conversations, and consisted of colloquial sentences depending on the topic and unit, is also one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m during this period.
    This articl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units, the notation of colloquial sentences and the composition of dialogues of 14 kinds of textbooks published in this age, in order to look for the relationships with those that were published in the earlier period and the later period. In particular, it minimized the teaching materials included in 『Collection of Century of studies on Grammar in Korea』 that has been the subject to the major analysis, so far, and focused on examining conversation-center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osse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Chapter 2 took a glance over general properties of this period and properties of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at this moment, and Chapter 3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units, the notation of colloquial sentences and the composition of conversations of the selected teaching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교육현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