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文姬歸漢圖>와 <明妃出塞圖>의 조선유입과 수용의 의미 (Korean Reception of Chinese Paintings Lady Wenji’s Return to China and Lady Mingfei Leaving the Country in the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9
28P 미리보기
중국 &lt;文姬歸漢圖&gt;와 &lt;明妃出塞圖&gt;의 조선유입과 수용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7권 / 287호 / 29 ~ 56페이지
    · 저자명 : 문선주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고사여인도인 <文姬歸漢圖>와 <明妃出塞圖>가 중국으로부터 어떠한 작품들이 유입되었고 이를 조선 문인들이 어떻게 수용했는지 파악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가 정치, 사회적으로 어떻게 이용되는지 파악하고 열녀도와 미인도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는 고사여인도의 특징을 밝히려 한다.
    <文姬歸漢圖>, <明妃出塞圖>의 주인공인 채문희와 왕소군의 경우 한 여인은 漢을 떠나고, 한여인은 漢으로 돌아오는 인물로서 서로 연결되면서도 상반된 상징성을 가질 수 있다. 조선시대 유입 제작된 <문희별자도>, <명비출새도>는 송원대의 작품이 많았고 작품에 대한 인식도 송원대 사상의 영향이 많이 드러났다. 예를 들어 조선 문인들은 <문희별자도>를 화이론에 근거하여 수용하였고 생명보다 소중하게 정절을 지켜야한다는 송대 주희, 정이의 정절관을 따라 채문희를 평가하였다. 또한 조선 문인들은 <명비출새도>의 왕소군을 송대 구양수가 해석한 것과 같이 그녀를 정치적 희생양이자 박명한 미인으로 해석하였다. 그들은 왕소군을 통해 황제가 알아주지 않는 그녀의 " 미모"를 왕이 알아주지 않는 자신들의 “능력”으로 치환시켜 자신들의 정치적, 신분적 소외를 투영시켰다. 화이론적으로 해석되었던 <문희별자도>는 18세기 이후 북학의 확산으로 그 의미가 희석되어 작품의 제작 및 감상이 거의 중단된 듯하고, <명비출새도>는 왕소군의 미모와 운명에 매혹된 조선 문인들에 의해 전시기에 걸쳐 수용, 감상되었다.
    고사여인도 수용에 드러난 송대사상의 영향은 18세기 중국 서화시장에 송원대 그림이 많이유통되었던 현실적인 이유도 있지만 조선 사회가 다양한 사상이 출현했던 명청대와 달리 양란이후송대 성리학이라는 단일한 사상을 중심으로 체제를 강화시키고자 했던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사”의 측면에서 특별한 시기 정치를 반영하여 정치적으로 해석되었던 <문희별자도>는 현실정치의 변화에 따라 작품의 운명도 함께 사라졌다. 반면에 포괄적인 의미에서 정책비판의 용도로활용되었던 <명비출새도>는 조선 전시대에 걸쳐 생명력을 지녔다. 이처럼 고사여인도는 정절과 미모를 다루기 때문에 열녀도와 미인도의 중간적 성격을 지니면서도 당대의 정치적 현실을 반영하는복합적 성격을 드러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way in which two painting themes of women in old tales, titled Lady Wenji’s Return to China (文姬歸漢圖) and Lady Mingfei Leaving the Country (明妃出塞圖), were introduced into Joseon from China and came to be accepted by the literati of Joseon. This paper also aims to examine the use of visual imagery for political and social purpo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of old tales, which combine the genre traits of paintings of a woman of virtue and paintings of a woman of beauty.
    Cai Wenji (蔡文姬), heroine of Lady Wenji’s Return to China, returns to Han, While Wang Zhaojun (王昭君), heroine of Lady Mingfei Leaving the Country, leaves the Han Dynasty of China. Therefore, these two women are connected but symbolize contrary values. Most works of Lady Wenji’s Return to China and Lady Mingfei Leaving the Country introduced during the Joseon period were painted in the Song and Yuan periods, while their interpretations also reflected the thoughts of the two periods. For instance, literati of Joseon received Lady Wenji’s Return to China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Distinction between China and the Barbarians,” and assessed Cai Wenji following the idea of Song-period philosophers Zhu Xi and Cheng Yi that wives should value chastity over life. Furthermore, the literati of the Joseon period regarded Wang Zhaojun as a political victim and a beautiful court lady who died young, which was the same interpretation as Ouyang Xiu’s in the Song period. Through the character of Wang Zhaojun, they projected their political and classbased ostracization using the said character’s beauty, which was ignored by the emperor, as an allegory for their own “competence,” which was ignored by the king. On the other hand, while Lady Wenji’s Return to China had been interpre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Distinction between China and the Barbarians,” the spread of the Practical Leaning in the 18th century diluted the meaning of such interpretation and almost ended the production and appreciation of Lady Wenji’s Return to China. In contrast, and Lady Mingfei Leaving the Country was embraced and appreciated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by the literati who were attracted to Wang Zhaojun’s great beauty and tragic fate.
    The reception of paintings of women in old tales in Joseon reflected the influence of Song-period ideas, which appeared partly due to the practical reason that paintings made in the Song and Yuan periods were distributed in large part through markets of 18thcentury China, but mostly due to the tendency of Joseon society following the two wars of foreign invasion to reinforce the social structure based on the single philosophy of Neo- Confucianism of the Song period.
    Lady Wenji’s Return to China, which had been interpreted in a political perspective to reflect the politics of a specific era through the theme of “old tales,” faced the same fate of extinction in line with changes in actual politics. In contrast, Lady Mingfei Leaving the Country, which was used to criticize political policies in a broad sense, prevail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type of paintings features a middleground nature between paintings of a woman of virtue and of beauty and also represents complex ideas reflecting the political reality of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