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해문의 내용과 표기를 근거로 한 『兵學指南』의 서지적 계통 분석 (Classification of Editons of Byeonghakjinam by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Orthograph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12
41P 미리보기
언해문의 내용과 표기를 근거로 한 『兵學指南』의 서지적 계통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25호 / 121 ~ 161페이지
    · 저자명 : 고성익

    초록

    조선시대의 군사조련서인 『兵學指南』의 현전하는 이본들은 대부분 18세기에 간행되었다. 그러므로 『병학지남』은 18세기에 중간된 언해문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언어적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이다.
    언해문의 내용의 변화만을 기준으로 판본을 분류하면 원간본 계열, 별후영판 계열, 공홍병영판 계열, 교감본(장용영판) 계열의 네 계열로 나눌 수 있다. 표기의 변화 및 형태서지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이를 다시 초기본 3계열, 개수본 3계열, 교감본 1계열 등 총 7계열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계열 내에서 언해문의 내용에는 변화가 없으나 방언의 영향과 원간본의 표기를 유지하려는 태도의 차이, 선호하는 표기방식의 차이로 인해 표기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서울 지역에서 유통되던 초기본 I 계열 판본들은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간행되었지만 언어적으로는 원간본 간행 시기의 상태를 반영하는 보수성을 강하게 보여 주고 있다. 개수본 II 계열을 비롯해서 경상도 지역에서 유통되던 판본들은 상대적으로 개신적 특징과 방언적 특징이 잘 드러난다. 최종적인 교감본인 장용영판 계열 판본들은 전형적인 18세기 후반의 표기 경향이 잘 드러나는데 장용영판A보다는 장용영판B가 좀더 개신성이 두드러진다.

    영어초록

    Byeonghakjinam(兵學指南) is a military field manual that was first publish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Joseon dynasty of Korea. This book has many editions and the bibliograhical relationships among those editions are complicated. In this paper I tried to classify those editions and explain their bibliographical lineage in detail on the basis of two factors: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s and the descriptive bibliography.
    The Chinese text of the book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four times: the original translation, another old translation of Byeolhuyeong(別後營) edition, a translation revised by Choi Suk(崔橚) and the last translation of Jangyongyeong(壯勇營) editions revised by Yi Yugyeong(李儒敬) and authorized by King Jeongjo. If we take descriptive bibliography into consideration as well, they can be classified as seven groups: subgroups I, II, III of ‘the earlier or conservative group', subgroups I, II, III of ‘the revised group' and ‘the last group' directly influenced by the authorized version.
    Most editions of Byeonghakjinam were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and show how much linguistic diversity there can be in the books of the same period written in Korean when they were published as different editions.
    Inside each group the contents they deliver are virtually identical but their orthographic conventions show diversity that was influenced by dialects and the preferences for orthographic conventions of the editors. While Group I of the earlier group shows strong conservatism in orthographic conventions, Group II of the revised groups reveals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period and influences of dialects. Jangyongyeong editions show stereotypical orthographic conventions of Korean literature of the late 18th century. Of the two editions of Jangyongyeong, edition A is more conservative than edition B from the linguistic view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