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 ‧ 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 ―문용동과 본회퍼의 생애를 중심으로 (The spirit of May 18 and the man for the others ―Focusing on the Life of Mun, Young‐dong and Bonhoeff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11
28P 미리보기
5 ‧ 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 ―문용동과 본회퍼의 생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선교 / 57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고재길

    초록

    “타자를 위한 인간”은 히틀러의 나치 정권 하에서 교수형으로 생을 마쳤던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후기 신학에 나타나는 용어이다. 그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이성의 활동을 절대화하는 20세기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자기를 희생하신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규정한다. 본 연구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존재하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살고, 죽었던 두 사람에게 주목한다. 본회퍼와 문용동이 바로 그들이다. 본회퍼가 타자를 위해 죽기까지 희생적인 삶을 사셨던 예수의 참된 제자였듯이, 문용동은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타자를 위한 인간”의 원형이신 나사렛 예수의 진실한 제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문용동은 그 당시, 호남신학교의 재학생이었고, 교회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열정적으로 선포했던 사역자였다.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 즉 5ㆍ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5ㆍ18정신은 “타자를 위한 인간”의 삶에서 발견할 수 있고, “타자를 위한 인간”의 삶은 5ㆍ18 광주민주화운동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5ㆍ18정신은 반독재민주화 투쟁의 과정에서 나왔다. 5ㆍ18정신 빼앗긴 자유를 되찾고 무너진 평화를 다시 일으켜 세우고, 짓밟힌 인권을 회복하기 위한 선한 가치이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서의 윤리적 삶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그들의 삶은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의 가치 위에 형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성과를 가진다, 첫째, 기독교신앙이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신앙의 행위를 포함한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믿음과 행함을 분리시키지 않았고, 행함 있는 믿음의 정수가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둘째, 문용동과 본회퍼는 기독교신앙에서 중요한 소명과 책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두 사람은 직업으로서의 소명 그 위에 책임의 의미를 더하여 생각한다. 셋째, 문용동과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살았다, 신학의 관점에서 보면 문용동은 깔뱅신학을 따른다. 반면에 본회퍼는 루터신학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우리가 나사렛 출신 그리스도이신 예수의 존재에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해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man for the others” is a term in the later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that was hanged under Hitler’s Nazi reg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tuations of the 20th century characterized by the denial of god and the effort to make reason's activities absolute, Bonhoeffer defined God's son or Jesus Christ as a “man for the others” that sacrificed himself until he died on the cross. This paper focused on two men that lived and died in the faith of Jesus Christ that existed as a “man for the others”: Bonhoeffer and Mun Yong‐dong. Just like Bonhoeffer was a true disciple of Jesus that lived a sacrificing life for others until his death, Mun displayed himself as a true disciple of Jesus of Nazareth, who was the archetype of “man for the others,” in the proces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May, 1980. Mun was a student attending the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and minister that proclaimed God's words passionately at church during the movement.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spirit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r the spirit of May 18 and “man for the others.” The spirit of May 18 can be found in a life of “man for the others,” which is in turn clearly found in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n May 18. The spirit of May 18 stemmed from the process of struggling against autocracy and for democratization. It represented the good values of restoring people’s freedom that was taken away, raising peace that collapsed again, and getting back people’s human right that was trampled. Both Mun and Bonhoeffer clearly showed what was ethical life as a “man for the others.” Their lives were built upon God's love and affection for neighbors.
    The present study ha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hristian faith includes the acts of faith manifested in specific situations. Mun and Bonhoeffer did a good job at showing the essence of faith accompanied by actions without separating action from faith. Secondly, they aroused the importance of calling and responsibility that were critical to Christian faith. They added the significance of responsibility to calling as a vocation in their thinking process. Thirdly, they lived as “man for the others.”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Mun followed Calvin's theology, whereas Bonhoeffer reflected the viewpoint of Lutheran theology. Finally, it is important to ask ourselves whether we participate in the existence of Jesus of Nazareth as Christ. Both Mun and Bonhoeffer offer an answer to this ques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