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Jung Hak-yu's travel essay Buhaegi and travel poems)

7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0.09
75P 미리보기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9호 / 223 ~ 297페이지
    · 저자명 : 정민

    초록

    이 논문은 1809년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 「부해기」와 기행시를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해기」는 정약용의 둘째 아들 정학유(丁學游, 1786-1855)가 24세 때인 1809년 2월 3일에 강진을 출발해서 흑산도에 갔다가, 3월 24일에 강진으로 돌아오기까지 50여일 간의 여정을 기록한 기행 일기다. 정학유의 문집이 공개되지 않아 그간 학계에서 이 자료의 존재를 몰랐다. 이 글에서 최초로 소개하고 전문을 공개한다.
    정학유는 부친인 정약용의 당부로, 당시 흑산도에 유배와 있던 둘째 큰아버지 정약전을 문안하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당시 열악한 뱃길에 고생 끝에 흑산도에 가는 도중 난생 처음 고래를 보았고, 뱃사람들의 풍속과 주변의 경관도 상세하게 묘사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우리는 흑산도에 관한 중요한 옛 기록을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부해기」에는 흑산도의 풍물과 오가는 뱃길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흑산도의 인문지리적 환경과 당시 섬주민의 생활상, 특산과 지명 및 경관 소개 등이 풍부하다. 무엇보다 정약전의 유배 생활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이 담겨있다.
    이와 함께 정학유는 흑산도의 풍물을 12수의 한시로 남겼다. 또 이학규는 정학유의 글을 보고, 역시 한시 12수를 지어서 관련 내용을 한층 풍성하게 해주었다. 끝에는 전문을 번역하고 원문과 함께 수록하여 향후의 연구 자료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Jung Hak-yu’s travel essay Buhaegi and his travel poems in 1809. Jung Yak-yong's second son Jung Hak-yu(丁學游, 1786-1855), when he was 24 years old, left Kangjin on February 3, 1809, went to Heuksan Island, and returned to Gangjin on March 24 for about 50 days. Buhaegi is a journal recording this travel. Since Jung Hak-yu's literary collection has not been released, the existence of this essay has not been known, and this paper first introduce it to the public.
    Because of his father Jung Yak-yong’s request, Jung Hak-yu visited Heuksando to greet his second-oldest father Jung Yak-jeon who was in exile on there. On the way to Heuksando, he suffered from a bad boat condition, saw the whale for the first time. He also described the sailors’ custom and surrounding scenery in detail.
    This essay allows us to add an important old record about Heuksando. Buhaegi not only gives a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features of Heuksando and the routes that go back and forth, but also introduces the human geographical environment of Heuksando, the lives of the residents of the island at that time, and the names of the landscapes and special products. It also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exile life of Jung Yak-jeon.
    In addition, Jung Hak-yu left twelve poem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Heuksando. Lee Hak-kyu saw Jung Hak-yu's writings, and also made 12 poems which enriched the content. At the end, the full text was translated included with the original text to be used as future research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