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80년대 재일(在日) 종합문예지 『한양』과 한국문학의 교섭 (『Hanyang』, a General Literary Magazine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1960’s to 80’s and the negotiation associated with Korean literatu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3
36P 미리보기
1960~80년대 재일(在日) 종합문예지 『한양』과 한국문학의 교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77권 / 77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하상일

    초록

    본 논문은 1960~80년대 재일(在日) 종합 문예지 『한양』과 한국문학의 교섭 양상을 이해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62년 창간호부터 1984년 종간호에 이르기까지 『한양』에 게재된 문학작품의 전체 서지 목록을 작성했고, 이 목록 가운데 재일조선인 혹은 해외 한인으로 명확히 확인되는 경우를 제외한 한국 문인의 작품으로 서지사항을 별도로 작성했다. 그리고 이 목록을 시, 소설, 비평 및 산문으로 크게 구분하여 그 현황과 특징을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다만 『한양』은 1974년 ‘문인간첩단 사건’ 이후 한국으로 유입이 금지된 탓에, 한국문학과의 교섭은 1970년대 초반까지로 한정된다.
    첫째, 작품 발표 현황을 대략 살펴보면, 시는 113명의 시인이 455편, 소설은 36명의 소설가가 97편, 비평 및 산문은 75명의 저자가 225편을 발표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보면 시인의 경우 박두진 24편, 신석정 25편, 박봉우 15편, 양성우 17편, 이태극 18편, 소설가의 경우 김송 18편, 강금종 9편, 비평의 경우 구중서 11편, 김우종 12편 등이 게재했다. 이 외에 김사엽, 양주동 등 고전문학 연구자의 글과 윤이상의 글 17편 등이 게재되어 있어서, 이들에 대한 개별적인 자료 정리와 연구가 진행되어 한국문학사 연구의 외연 확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둘째, 내용적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면, 1960년대 한국 정치의 억압과 통제로 인해 자유로운 목소리를 차단당한 지식인과 문인들의 억눌린 목소리를 진정성 있게 담아내는 공기(公器)로서의 역할을 했다. 시 분야는 민족적 정서의 내면화와 현실 비판의 시대정신을 담은 참여시의 경향이 특별히 주목되고, 소설 분야는 경제적 근대화를 위해 박정희 정권이 내세운 공업화의 허위성에 대한 비판과 이를 토대로 한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열망이 두드러지며, 비평과 산문 분야의 경우는 생활 현실에 바탕을 둔 현실 참여의 가능성과 이를 구체화하는 리얼리즘의 실천에 대한 입장이 구체적으로 제기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anyang』, a general literary magazine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1960’s to 80’s and the aspects of negotiation associated with Korean literature.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made a bibliographic list of all the literary works included in『『Hanyang』 from the first issue in 1962 to the last issue in 1984 and prepared an additional bibliographic list about the works of Korean literary persons excluding Chosun people residing in Japan and Koreans clearly found to have lived overseas then. Also, classifying the works on the list into poetry, novels, critical essays, and prose largely, this researcher discuss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briefly. Yet, the inflow into Korea was prohibited after ‘the Literary Spy Incident’ in 1974, so negotiation with Korean literature was limited to before the early 1970’s.
    First, examining the status of work publication in brief, this author has found that 113 poets wrote 455 pieces of poems, 36 novelists created 97 novels, 75 authors presented 225 pieces of prose or critical works. Looking into them individually, this study has found that about poets, Pak Du-jin published 24 poems, Sin Seok-jeong 25, Pak Bong-woo 15, Yang Seong-woo 17, and Lee Tae-geuk 18, and about novelists, Kim Song issued 18 works and Jang Geum-jong 9, and about critical writing, Gu Jung-seo presented 11 pieces and Kim Woo-jong 12, and so on. Aside from them, works including the ones written by researchers of classical literature such as Kim Sa-yeop and Yang Ju-dong and Yun I-sang’s 17 works were presented, too;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o arrange the materials about them individually and conduct further research so as to extend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fterwards.
    Seco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s, this study has found that it played roles as a public organ to contain authentically the suppressed voices of intellectuals and literary persons forced not to make any voices freely then due to the oppression and control of the Korean politics in the 1960’s. Regarding the area of poetry, the poems of participation intended to internalize the ethnic sentiments and embrace the spirit of the time to criticize the reality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bout the area of novels, it is noticeable that they criticized the falsehood of commercialization set force by Pak Jeong-hui’s government for the sake of economic modernization and yearned for the recovery of democracy based on that. Concerning the area of prose and critical works, they concretel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grounded on the reality of their lives and the position about the practice of realism to concretize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