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에 나타난 선사상 고찰 (A Study on Seon Thought in Chobalsimjagyeongmu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4
26P 미리보기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에 나타난 선사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4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박진영, 서왕모

    초록

    이 글은 한국불교 승려들의 기초 교재인 『초발심자경문』에 내포된 선사상을 추출하고그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 선 문헌으로서의 가치를 조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초발심자경문』을 구성하는 텍스트인 보조 지눌의 「계초심학인문」, 원효의 「발심수행장」, 야운의 「자경문」에서는 선사상이 두드러지거나, 최소한 선종의 관점과 부합하는 내용들을확인할 수 있다. 「초심」에는 무분별·무집착의 생활상과 선종의 종지인 불립문자 및 정혜쌍수·돈오점수로 대표되는 지눌 선사상의 특징이 나타난다. 「발심」에는 선사상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없지만, 계율 엄수를 수행의 필수 요건으로 중시하고 존재의무상과 죽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발심을 촉구하는 것은 선사들의 가르침과 동일하다. 「자경문」에서는 불성의 다른 표현인 ‘주인공’이 등장하며, 간화선 수행에 관한 몽산덕이의 사상적 영향이 엿보인다. 『초발심자경문』은 지눌의 선풍과 계율 중시 경향, 몽산의 간화선 사상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한국선의 정체성과 주요 전통을 파악할 수 있는문헌이자, 선사상이 한국불교 승가교육의 중심 이념임을 보여주는 체계적인 선 수행 입문서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Seon thought in the basic textbook of Korean Buddhist monks, Chobalsimjagyeongmun(CBJM),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to illuminate its value as Korean Seon literature. CBJM consists of three texts: Bojo Jinul’s Gyechosimhakinmun(Chosim), Wonhyo’s Balsimsuhaengjang(Balsim) and Yaun’sJagyeongmun. We can find the contents that stand out or at least match the perspective of Seon school. Chosim includes not only the lifestyle devoid of discrimination and obsession in company with the cardinal meaning of Seon school such as ‘no establishment of words and letter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Jinul’s thought. Although there is no part directly related with Seon thought in Balsim, it is correspond with Seon masters’ teaching to emphasis on observing precepts and encourage arousal of the mind towards enlightenment through alerting to impermanence and death. In Jagyeongmun, another expression of Buddha nature, ‘Juingong’ appears, and Mengshan Deyi’s ideological influence of Ganhwaseon practice is also reflected. CBJM is a literature that can identify the identity and major traditions of Korean Seon, and is a systematic introduction to Seon practice that shows that Seon thought is the main ideology of the education for Korean Buddhist mon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