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The full text of Baekhwadoryangbalwonmun-ryakhae and Chewon's Avalokitesvara belief)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1.02
34P 미리보기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4호 / 83 ~ 116페이지
    · 저자명 : 정병삼

    초록

    『白花道場發願文略解』는 고려 후기에 體元이 신라 의상이 지은 것으로 전승되던 「白花道場發願文」을 해석한 책이다. 그동안 20장 분량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는 2장이 결실되어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근에 그 내용이 수록된 판본이 발견되어 全文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의상의 「백화도량발원문」 전문과 체원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 전문의 내용을 확인 검토하였다.
    全文을 살펴본 「백화도량발원문」은 일반적인 고난 구제가 아니라 관음을 지성으로 따르며 백화도량 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발원문이었다. 체원은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의상과 법장 등 화엄 초기 조사들의 전적을 주로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경전은 80화엄을 주 대본으로 하고 논소는 징관의 『華嚴經疏』를 많이 인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는 白花道場의 어의적 해석을 위해 그 대본을 인용했기 때문이었다. 발원문의 圓通三昧나 大圓鏡智 관음의 大慈悲 등과 관련하여 『능엄경』을 전거로 해석하였다. 또 관음과 발원제자가 결국 평등한 체성으로 귀착된다는 것은 『일승법계도』 등 신라 화엄 전적을 중점 인용하여 설명하고 전체적으로는 법장의 저술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이러한 체원의 해석 경향은 발원문 구절을 충실히 따르면서 그에 적합한 전거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경전과 논소를 인용한 데 따른 것이었다. 체원이 화엄의 구도적 실천신앙을 표방하면서도 백화도량에 왕생하고자 발원문을 해석하여 널리 알리고자 한 것은 고려 후기에 보편적이던 정토왕생의 희구에 대한 화엄적 대안이었다. 체원은 의상과 의상계 화엄을 계승하여 「백화도량발원문」의 관음신앙을 해석함으로써 고려 후기 화엄교단의 사상적 전통을 명확히 하고 화엄교단의 관음신앙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Baekhwadoryangbalwonmun, which is presumed to Euisang, shows that he prayed for Avalokitesvara. The letter intends to not deriving fears but want to rebirth in Potalaka Land, the Pure Land of Avalokitesvara. Baekhwa doryangbalwonmun-ryakhae is the interpretation of Baekhwa doryangbalwonmun. Chewon interpreted this book with quoting the works of Euisang and Fazang, the Silla and Tang founders of Hwaom Buddhism. He cited 3 versions of Avatamsaka sutra, 80 volumes, 40 volumes and 60 volumes, and quoted Huayanjingshu of Chengguan most frequently. He presented Shoulengyanjing to explain the meaning of wontongsammae, daewongyeongji and the great mercy. All these quotations were based on his effort to try to explain the Avalokitesvara belief. On the other hand he quoted the Silla Hwaeom works like Ilseungbeopgyedo to explain Avalokitesvara and prayer concluded equal nature. Like this, Chewon tried to explain the Baekhwadoryangbalwonmunr's phrase accurately through presenting various suitable works. Chewon explained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Baekhwadoryangbalwonmun in the tradition of the belief of Hwaeom school which was continued since Silla. Thus he tried to determine the tradition of thought of Hwaeom school in late Goryeo, and establish the Avalokitesvara belief which leads to Potalaka 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