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文昭殿의 성립과 그 운영 (A study on the Sacrificial rites of Munsojeon in the early Choson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7.07
34P 미리보기
조선전기 文昭殿의 성립과 그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4호 / 69 ~ 102페이지
    · 저자명 : 한형주

    초록

    죽은 선왕을 生時처럼 섬겨 孝를 펼친다는 명분하에 설립된 原廟는 선대의 왕과 왕비의 개별 魂 殿으로 상례와 제례가 모두 공존하는 장소였고, 봉안의 주요 대상은 影幀이었다. 그러나 세종대 중반후대의 왕들이 모두 별도의 원묘를 설립하는 방식은 문제가 많다고 판단한 국왕이 유교적인 五廟制 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소전을 설립하고 여기에 태조와 4대조를 봉안하도록 조처하면서 원묘의 성격은 바뀌게 되었다.
    문소전은 봉안 대상이 기존의 영정이 아닌 위판이었고, 부묘 과정은 국상을 마친 후 종묘의 신주봉안과 결부됨으로써 새로운 국가제사의 대상이 되었다. 세종은 종묘와 달리 前殿後寢의 형태로 문소전을 만들었고, 제례의 과정은 종묘와 차별된 왕실의 私廟로써 설정하였다. 그러나 봉안의 대상이종묘와 비슷하게 태조와 4대조였고, 그 운영은 유교적 五廟체제에 맞추어 시행됨으로써 과거 원묘가갖고 있던 왕실 私廟의 모습을 넘어 국가묘의 성격을 드러냈다. 때문에 기존 원묘에 대한 비판이 주로 그것의 불교적인 성격에 집중되었다면 후대의 문소전 비판은 종묘와 유사한 문소전의 속성을 대상으로 삼았다.
    세종은 처음 문소전이 건립되었을 때 이곳에 親疎를 기준으로 신주를 봉안하되, 후대에 절대로 5 실을 넘지 말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문소전 설립취지 및 운영방식은 부자상속의 정상적인 왕위계승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었지만 傍系가 즉위하였을 때에는 왕통과 연결되어 해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조카로 대통을 계승한 성종은 문소전 5실제를 형식상 준수했지만 生父를 위해 별도의 延恩殿을설립함으로써 문소전의 父子奉祀 원칙에서 벗어났다는 의혹을 샀다. 특히 동생으로 왕위를 계승한명종은 親疎를 기준으로 한 문소전 祔祭 원칙을 내세우며 인종을 연은전에 祔祭하였는데, 이러한 행동을 인종의 정통성 훼손으로 판단한 반대 측이 世次를 기준으로 인종의 문소전 부제를 주장함으로써 양자 간에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 상황은 다시 선조의 즉위 후에 재현되었는데, 이때에는 사림세력의 성장을 바탕으로 형제상속을 인정한 ‘同世異室’의 원리를 문소전에 적용시켜 인종과 명종을 모두 봉안하였다. 이후 문소전은 종묘와 동일한 廟制의 원리아래 운영되었다.
    정묘인 宗廟와 親盡된 선왕을 모신 別廟(永寧殿)의 구성은 양자 간에 봉안대상이 서로 다르고 상호간에 차별화된 의식을 적용함으로써 정제된 국가묘제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종묘와 동일한 대상 및 원리로 운영되는 二重廟인 문소전의 제사는 당대인들에게 부당한 疊祭로 간주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중종대부터 사림들의 혁파론이 제기되었는데, 세종의 遺命을 지켜야 한다는 국왕 측의반대로 실현될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와중에 문소전은 소각되었는데, 왜란의 복구과정에서위의 비판론을 바탕으로 문소전의 재건은 모색되지 않았고, 그 제사는 자연스럽게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Wonmyo(the Royal’s private Ancestral Shrine) system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it, especially related to Munsojeon.
    Wonmyo was built to respect the late Kings as if they were alive. In the early Choson dynasty, Wonmyo was built separate one king from another. While the only one Munsojeon was established instead of plural Wonmyo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because it had trouble to build Wonmyo continuous. Spirit tablet were enshrined instead of portrait in Munsojeon, and Confician ceremony was done deviating from the Buddhist.
    Spirit tablets of Taejo and four generation ancestor of present king were enshrined in Munsojeon, and King Sejong strictly restricted the number of spirit tablets as 5.
    The system of Munsojeon was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He became a king after death of his uncle Yejong. He bestowed the titled of King on his real father in the 7th year, and then Spirit tablet of his father was enshrined in Chongmyo(the Royal Ancestral Shrine). But Spirit tablet of his real father was enshrined in Yeoneunjeon, a kind of Wonmyo instead of Munsojeon, for he called Yejong his father. This is deviate from principle restricting direct 4 generations due to enshrining his uncle, not his father.
    Myongjong was younger brother of Injong, so he intended to enshrine his elder brother in Yeoneunjeon not in Munsojeon. But Sarim(Neo-Confucian literati) insisted Injong be enshrined in Munsojeon because Myongjong had to regard Injong as his father. They acclaimed it was defined not blood lineage but kingship lineage. At last Injong was enshrined in Yeoneunjeon due to powerful insistence of the King’s mother.
    This debate was continu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t that time Sarim gained in power, they claimed kingship lineage was more important than blood lineage on the enshrinement. So Injong and Myongjong were enshrined in Munsojeon. As a result, Munsojeon system changed to enshrine spirit tablet from blood lineage to kingship lineage. But basically Sarim denied the system of Munsojeon, because of duplicity of Jongmyo and Munsojeon and too many sacrificial rites. So After Munsojeon was burned away during Imjin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392), it was not rebuilt for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