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시전문 동인지와 로컬리티 (Poetry Coterie Magazine and Locality during 193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10
30P 미리보기
1930년대 시전문 동인지와 로컬리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51권 / 51호 / 109 ~ 138페이지
    · 저자명 : 강호정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경성이 아닌 타 지역에서 발간된 주요 동인지를 대상으로 동인지의 로컬리티 문제를 살펴보았다. 1930년대 동인지가 속출한 가운데 각 지방에서 출간된 동인지의 양상과 의미를 지역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1930년대 동인지에 대한 연구는 소위 동인지 문단으로 알려진 1920년대 동인지에 대한 연구에 비해 눈에 띄게 저조하다. 1920년대 동인지가 효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면, 1930년대의 동인지는 1930년대라는 문학사적 시기와 맞물려 꽃을 피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관심 역시 필요한데, 여기서는 각 지방에서 출간된 동인지들이 중앙(경성)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중앙과 관계 맺는 방식은 무엇인지, 각 지역에 따른 지역성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점검하였다.
    중앙과의 연계 혹은 반발이 이 시기 동인지들이 보여준 극단적인 두 가지 방향이었다. 이때의 중앙은 지리적인 관점에서 경성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중앙(경성)에서 활동하는 기성문인을 말하는 것이기도 했다. 세대론의 문제와 겹치기도 하는 것인데, 중앙(경성)에서 발간한 동인지의 비판 대상이 한 세대 앞선 전대의 문인들이었다면, 지방에서 발간한 동인지의 타겟은 중앙(중앙집중)과 동시대의 중견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중앙과의 연계 여부도 동인지의 활성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적 관점에서 중앙(경성)으로서의 중심 이외의 다른 중심 혹은 다양한 중심이 필요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울러 1930년대의 동인지는 그 다양한 중심의 역할을 하기 위해, 그리고 지역문화의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했다고 할 수 있다. 1930년대의 동인지를 살피는 것은 새로운 중심 혹은 다양한 중심을 만들기 위한 단초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locality issue was observed by targeting major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ing published in other region than Gyeongseong (Seoul) during 1930s. Under the situation that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mushroomed during 1930s, aspect and meaning of literary magazine being published in each local region was considered in terms of its locality. A study on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was conspicuously rare compared with that on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20s that was known to be literary society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those times.
    If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20s should be called as the first magazine in such category, 1930s would be the times when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bloomed matching with its historical timing of lit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show concern over such trend and in this study, how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ing published locally established its relation with central (Gyeongseong) region, in what way they established such relation and what is lo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each local region were observed.
    Linkage with or rejection against central region was two drastic directions shown by literary coterie magazines during those times.
    Central region at that time means Gyeongseong in geographic terms but if speaking it in detail, it means also existing writers doing their literary activity in Gyeongseong. It is overlapped with an issue of generation discourse and if a critique target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published in central region were writers of past generation, that published in local region would be central region (central concentration) and medium standing writers. In addi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linkage status with central region significantly also affected activat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geographical perspective, it seems to be clear that besides central region based on Gyeongseong, other central area or diversified ones would be required as well. Additionally, it may be said that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had strived in order to play its diversified central roles and to ensure survival of local culture.
    Observing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would be meaningful in providing a clue for creating a new central or diversified centr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