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계(滄溪) 문경동(文敬仝) 한시 연구 ― 조선전기 한시에 나타난 강원도 형상의 일양상 ― (A Study on the Sino-Koran Poetry in Mungyeong-dong – Focusing on the shape of Gangwon-do in the early Joseo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4
26P 미리보기
창계(滄溪) 문경동(文敬仝) 한시 연구 ― 조선전기 한시에 나타난 강원도 형상의 일양상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75호 / 9 ~ 3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은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강원도 관련 인물과 시문을 연구하기 위한 장기 기획의 일환으로, 조선전기 문인 창계(滄溪) 문경동(文敬仝, 1457-1521)이 강원도에서 지은 한시를 고찰한 것이다.
    문경동은 강원도에서 지은 한시가 100편에 이를 정도로 작품이 많은데, 지금까지 강원도 관련 한시 연구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문경동에 관한 첫 연구로서 먼저 문경동의 생애와 의식지향을 살펴보았다. 퇴계 이황은 문경동의 묘갈명에서 그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평가하였는데, 문경동은 광호질탕(狂豪跌宕)한 기질로 인하여 조정에서 많은 비방에 시달렸으며 벼슬도 외직에 전전할 뿐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하였다. 문경동은 이처럼 불우한 삶을 살았지만, 자신을 괴롭히는 세상의 비방에 맞서 원망하거나 한탄하기보다는 수용하고 달관한 자세로 자연 속에서의 삶을 지향하였다. 또 이러한 문경동의 기질과 삶의 지향은 자신의 감흥을 솔직하고 담박하게 표현하는 시적 취향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특히 강원도에서 지은 작품에 이러한 시적 특징이 잘 드러났다. 문경동 한시에 나타난 강원도의 형상을 공간 인식의 측면과 시적 표현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경동은 강원도를 무릉도원이나 주진촌과 같은 평화롭고 화락한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대체로 고려후기에서부터 조선전기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관료문인들의 강원도 인식을 계승한 것이었다. 시적 표현의 측면에서 보면, 문경동은 유학자적 의리나 관리의 책무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보고 느끼는 것을 즉흥적이고 담박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as part of a long-term plan to study people and poetry related to Gangwon-do during the Joseon period. Accordingly, the sino-Koran poems written by Mungyeong-dong (1457-1521) in Gangwon-do was considered.
    Mungyeong-dong left so many works that there were 100 sino-Koran poems written in Gangwon-do,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s sino-Koran poems so far. As the first study on Mungyeong-dong, this paper first examined his life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He had outstanding literary qualities, but he was criticized a lot by people for his free and outspoken personality, so he could not reach a high government position. He lived such an unfortunate life, but rather than resenting or lamenting against the slander of the world, he sought to live in nature with an acceptable and fulfilling attitude.
    Mungyeong-dong's character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formed a poetic taste that expressed his emotion honestly and plainly. In particular, these poetic characteristics were well revealed in works made in Gangwon-do. The shape of Gangwon-do, which appeared in the sino-Koran poem of Mungyeong-dong, was divided into aspects of spatial perception and poetic expression. He recognized Gangwon-do as a peaceful and colorful space such as Mureungdowon and Jujinchon. This perception generally inherited the perception of Gangwon-do by traditional bureaucrats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o the early Joseon period. In terms of poetic expression, Mungyeong-dong was characterized by an impromptu and plain expression of what he saw and felt in person, not focusing on his duty as a Confucian scholar or his responsibilities as an offic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