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이지(明治) 시기 일본 문법서의 품사 관련 용어에 대한 20세기 초 국어 문법서의 수용과 변용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Grammar Books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Terms Related to Parts of Speech of Japanese Grammar Books during the Meiji Er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3
29P 미리보기
메이지(明治) 시기 일본 문법서의 품사 관련 용어에 대한 20세기 초 국어 문법서의 수용과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글 / 104권 / 1 ~ 29페이지
    · 저자명 : 김주상

    초록

    본고는 총 17종의 자료를 바탕으로, 메이지(明治) 시기 일본 문법서의 품사 관련 용어에 대한 20세기 초 국어 문법서의 수용과 변용 양상을 살펴 보았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언류의 경우에는, 일본의 문법서에서는 ‘代名詞’라는 용어의 정의가 대체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한다는 방향으로 기술되어 왔고, 이 ‘代名詞’라는 용어를 수용한 국어 문법서들도 초기에는 일본에서의 정의와 유사하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사람이나 사물보다는 ‘名詞’라는 다른 품사를 대신한다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음이 확인된다. 이는 품사론의 개념을 품사체계 내에서 설명하려고 했던 점이 한국의 문법서에서 더 명확하게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의 문법서들과 한국의 문법서들에서 ‘數詞’가 독립 품사로 설정되기 전에는 名詞의 일종으로 보는 견해와 形容詞로 보는 견해들이 있었고, 이것이 결국 數詞라는 품사의 탄생 과정에서의 진통이었다고 볼 수 있다. 용언류의 경우, 助動詞는 일본의 문법서에서는 中根淑(1876)의 동사의 하위 부류로 설정되었으나, 大槻文彦(1897)에 이르러 독립 품사로 설정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국어 문법서인 유길준(1897~1904), 김규식(1909)에서는 動詞의 하위 부류였으나, 유길준(1909)과 안확(1917)에 이르러 독립 품사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유길준(1909)과 안확(1917)에서 보이는 助動詞의 정의와 체계는 일본 문법의 조동사의 정의와 체계를 상당히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後詞와 吐의 경우, 양국의 문법서에서 後詞나 後置詞로 이름한 것처럼 분포의 측면을 중시한 것들도 있는가 하면, 단어와 단어의 접속과 의미의 연결의 측면을 중시한 것들도 있었다. 그러나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우리가 현재 助詞라고 부르는 것의 특질이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는 것인데, 이에 대하여 이미 주목한 문법서들이 상당히 존재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법서가 비단 한 나라에서만 발견된 것이 아니라 양국의 문법서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은 현재 한국과 일본의 문법에서 조사를 바라보는 시각에 상당한 유사점들을 있게 한 하나의 요인이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Based on a total of 17 types of data, this paper examine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early 20th-century Korean grammar books on terms related to parts of speech in Japanese grammar during the Meiji era. The contents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體言類, the definition of the term ‘代明詞’ has been described in the direction of replacing the name of a person or thing in Japanese grammar books, and it is confirmed that Korean grammar books that accepted the term ‘代明詞’ were similar to those in Japan at the beginning, but over time, they hav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replacing other parts of speech called ‘名詞’ rather than people or objects. It can be said that the point of trying to explain the concept of part of speech within the part of speech system is more clearly seen in Korean grammar books. And, before in Japanese grammar books and Korean grammar books, ‘數詞’ we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parts of speech, there were views that were viewed as a kind of 名詞 and as a 形容詞, which was ultimately a pain in the birth process of the part of speech. In the case of 用言類, the ‘助動詞’ was set as a sub-class of Nakane(1876) verbs in the Japanese grammar book, but it was set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when it came to Otsuki(1897). Likewise, in the Korean grammar books Yoo Gil-jun(1897∼1904) and Kim Kyu-sik(1909), they were sub-classes of 動詞, but they we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parts of speech when they reached Yoo Gil-jun(1909) and Ahn hwak(1917).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system of ‘助動詞’ in Yu Gil-jun(1909) and Ahn Hwak(1917) seem to refer to the definition and system of ‘助動詞’ in Japanese grammar. Lastly, in the case of 後詞 and 吐, some emphasized the side of distribution, as named backward 後詞 or 後置詞 in the grammar books of both countries, while others emphasized the side of the connection between words and meanings.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to note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hat we currently call 助詞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words, and there have already been a number of grammar books that have been noted. I believe that the fact that these grammar books were found in both countries, not just in one country, was a factor that mad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he way the investigation is viewed in current Korean and Japanese gramm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