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鳥足文土器의 變遷樣相 (The change Pattern of Chochogmun(Bird Foot Shape) Potte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7.02
36P 미리보기
鳥足文土器의 變遷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55권 / 55호 / 79 ~ 114페이지
    · 저자명 : 최영주

    초록

    鳥足文土器는 토기 동체면에 새 발 모양의 문양을 타날한 토기를 말한다. 본고의 목적은 한국 중서부이남지역과 일본에서 출토되는 조족문토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조족문토기의 시기적인 변천과 지역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청주 신봉동고분군과 나주 반남․복암리고분군의 유물공반관계를 통해 교차편년을 실시하여 크게 3개의 분기로 설정하고 다시 세분하여 6개의 소기로 구분된다.
    중서부지역권은 4세기 중․후엽~5세기 중․후엽으로 한성백제 단계이다. 중서부지역권은 Ⅰ-1기는 한성백제양식토기가 부장되고, 조족문토기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Ⅰ-2기는 석곽묘가 출현하고, 한성 2기양식토기 기종(개배, 광구장경호)의 부장이 확대되는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발전된 양식으로 변모한다. Ⅰ-3기는 석실분이 출현하고 토기 기종과 무구류와 마구류가 백제화된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다양한 요소를 보인다. 이후로 이 지역에서는 조족문토기가 소멸된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須惠器系 개배가 확인되고, 조족문토기의 기종양식이 비슷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지역 세력들의 일부가 백제를 피해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서부지역권은 5세기 후엽~6세기 중엽으로 웅진백제 단계이다. 남서부지역권 Ⅱ-1기는 대형옹관묘 존속, 영산강식석실분의 등장과 장고분의 출현 등으로 보아 마한의 독자성이 인정되고 조족문토기는 주로 고분의 주구에서 출토되며 단경호 및 조리와 관련된 기종이 확인된다. Ⅱ-2기는 백제계 유물의 부장이 확대되고 관식이 확인되는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장제의례행위와 관련된 기종이 확인된다. 이 시기에 일본의 조족문토기는 주로 5세기 대에 생활유구에서 조리용 토기들이 확인되며,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중엽에는 주로 고분에서 단경호가 출토된다. 이런 양상으로 미루어 4세기 말~5세기 전엽 부터는 마한의 사람들이 일본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6세기 중엽 이후는 조족문토기가 소멸되는 단계이다.

    영어초록

    Chochogmun pottery is the pottery with bird's footprint shape on the surface which was imprinted by paddl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emporal change as well as spatial vari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in Chochogmun pottery, which has been discovered in southern midwest Korea and in Japan. Tumuli in Shinbong-dong, Chungju and in Bannam and Bokam-ri, Naju,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and into six minor stages through relative cross-dating. Midwest area belongs to the Hangsung Baekje period in between mid/late fourth and mid/late fifth centuries. In Midwest area, Hangsung Baekje style pottery appeared at the I-1 stage and earliest Chochogmun pottery was included in it. At the I-2 stage, the outer stone coffin appeared, and the burial of the Hangsung stage 2-style pottery characterized by lid and bowl set and large-mouth and short-neck jar expanded. In this period Chochogmun pottery was changed into the developing style. At the I-3 stage, as stone chamber tomb appeared and the pottery, the weapons and the harness were changed into Baekje style, various types of Chochogmun pottery showed up. After this time, Chochugmun pottery disappeared in this area. However, at this time, the lid and bowl of Japanese pottery tradition was found and the style of Chochogmun pottery became as same as that of Japan.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hat some powerful group of people carrying Chochogmun pottery moved from Baekje to Japan. Southwest area belongs to the Ungjin Baekje period in between late fifth and mid sixth centuries. At the II-1 stage in southwest area, Mahan's originality showed up in the construction of large jar coffin tomb, and the appearance of Young-san river style stone chamber tomb, and the emergence of Jang-go tomb. At this period, Chochogmun pottery were found in the circular moat of the tombs, and short-neck jar and culinary potteries were found. At the II-2 stage, the burial of Baekje style relics expanded and coffin ornaments appeared. In this stage Chochogmun pottery, which was related to funeral ceremony, was found. During this period in Japan, Chochogmun pottery was found in culinary potteries in residential remains of fifth century, and short-neck jar of late-fifth and mid-sixth centuries were found in ancient tombs. These indicate the movement of Mahan people into Japan from early fifth century. After mid sixth century belongs to the disappearing stage of Chochogmun pott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