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初發心自警文諺解』 연구-송광사판과 서봉사판의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Chobalsimjagyeongmun-eonhae(初發心自警文諺解)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onggwang Temple Edition and the Seobong Temple Edi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8.08
35P 미리보기
『初發心自警文諺解』 연구-송광사판과 서봉사판의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51호 / 175 ~ 209페이지
    · 저자명 : 정우영

    초록

    이 연구는 『初發心自警文諺解』의 두 판본인 전라도 순천의 송광사판(1577)과 경기도 용인의 서봉사판(1583)을 대상으로 상호 대조ㆍ비교 검토하여 두 판본의 특징과 위상을 문헌학적 관점에서 밝히고, 두 판본에 나타난 언어의 차이를 국어사(방언사)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1580년경의 전라도와 경기도 방언의 윤곽을 파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체를 4장으로 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 두 판본에 나타난 大文의 分節, 구결문과 언해문의 체재, 번역 양상, 주석 등을 문헌학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두 판본의 체재가 어디서 영향을 받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16세기 초반 관판문헌의 체재와 유사하다. 송광사판의 구결문은 국한혼용체로 한자음 병기 방식이고 언해문은 순한글체이며, 서봉사판은 구결문 및 언해문 모두 국한혼용체로 한자음을 병기하였는데, 해당 지역의 독자층을 고려한 선택으로 해석된다. 번역에 있어서, 송광사판은 의역이 섞인 직역이고, 서봉사판은 송광사판보다 좀더 엄격한 직역의 경향을 보인다. 서봉사판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송광사판을 저본으로 하여 협주를 추가하고, 오류를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일부 구결을 바꿔 개역함으로써 통일성 있는 번역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두 판본의 비교에서 드러나는 두 판본의 언어의 차이를 문자와 표기법, 음운ㆍ음운현상, 어휘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국어사(방언사)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15세기에 ‘ㅿ’으로 표기되던 단어가 송광사판에서 ‘ㅿㆍㅇㆍㅅ’로 다양하게 반영된 것은 전라도 방언의 특수성과 중앙어형 표기의 중압감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해석하였다. 두 판본의 한자음과 고유어 표기에 대한 분석 결과, 1580년대 초기까지 경기도 용인 지역은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1570년대 후반 전라도 순천 지역은 ‘ㄷ’ 구개음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5세기에는 필수규칙이었던 ‘ㄱ’ 약화현상이 1580년경에는 전라도 방언과 경기도 방언에서 극히 축소되었으며, 오히려 ‘j’계 하향이중모음 또는 ‘ㄹ’ 아래에서 ‘ㅇ→ㄱ’과 같은 복구현상이 폭넓게 확산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송광사판의 어휘를 현대 전라남도 방언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어휘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골[州], 그림재[影], 니서[連], 무뤂[膝], 조[자주], 거리고곰[학질] 등. 송광사판은 전라도 방언을 반영하고, 서봉사판은 경기도와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으로, 16세기 후반기 전라도-경기도의 방언사를 재구하는 데 가치가 높은 자료들이다. 중세한국어 방언사 재구를 위해 지방에서 간행된 한글문헌 자료의 지속적인 자료분석과 검토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aper investigates the Songgwang Temple edition (1577) and the Seobong Temple edition (1583) of Chobalsimjagyeongmun-eonhae(初發心自警文諺解) and elucidates their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in philological aspects. It sheds lights on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yeonggi and Jeolla dialects of around 1580 by comparing their manifestations in the two editions of the text in view of historical dialectology.
    The paper consists of 4 chapters. The chapter 2 provides a philological study of paragraph segmentation, the construction of Gugyeol and eonhae sentences, the aspects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etc. The chapter 3 offers a historico- dialectolog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itions of the text with regard to the alphabets used, orthography principles, phonetic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lexical uses.
    The study of Sino-Korean pronunciations and the native language orthography in the two editions reveals that palatalization did not occur to the Gyeonggi dialect until around 1580, while /ㄷ/-palatalization was widely applied in the Jeolla dialect in the late 1570s. It is also revealed that /ㄱ/-weakening lost its force, while the falling diphthongs of /-j/ series and the reconstruction of /o/ to /ㄱ/ after /ㄹ/ were widely applied in both dialects of that time.
    The comparison between the words in the Songgwang Temple edition of the text and those in modern Jeolla dialect shows that the following words were used at that time: 골[州], 그림재[影], 니서[連], 무뤂[膝], 조[자주], 거리고곰[학질], etc. The words in the Seobong Temple edition corresponding to those in the Seobong Temple edition are 고올, 그림매, 니어, 무롶, 로, 머리고곰, etc, respectively. It is noteworthy that the latter have similar forms to those in the texts published in Hanyang in late 16C. Still, more works are in need to reconstruct dialects in the middle Korean period by examining carefully the the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