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趙希逸의 <神光寺上樑文>에 대하여 (About Shingwangsa Sangryangmun上樑文 of Jo Hee-i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8
27P 미리보기
趙希逸의 &lt;神光寺上樑文&gt;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4호 / 59 ~ 85페이지
    · 저자명 : 이민호

    초록

    이 논문은 宣祖와 仁祖 연간에 활동했던 館閣文人 竹陰 趙希逸의 <신광사상량문>을 통해 그의 문예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조희일은 전통시대 선인들에게 文翰의 大筆로 고평을 받았는데, 내용의 방대함과 난해함으로 인해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조희일의 문학적 소산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나 이 시기 대가들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수준으로, 이 시기 문학사의 목록에 추가해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죽음집』에는 다양한 문체로 이루어진 수많은 문학적 성과가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압권은 사륙변려로 작성한 <신광사상량문>이다. 이 상량문은 문학적 상상속의 官撰 상량문으로, 기존의 상량문과 차별성이 뚜렷한 아주 독특한 형식의 상량문이다.
    前朝 牧隱 李穡(1328~1396)의 입장에서 가탁하여 지은 것인데, 神光寺라는 종교적 건축물을 창작의 대상으로 삼아 사찰의 창건 시기나 배경은 기존에 알려진 역사적 사실과는 완전히 다른, 본인이 철저히 가공하여 텍스트 상에서 설계하고 창조한 가상의 세계이다. 이런 과감한 시도는 자신이 가진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저자 자신이 창작의 의지를 갖고 적극적으로 지은 글이라는 점에서, 이 <신광사상량문>이야말로 망각된 조희일의 문예미를 조명하는 데 가장 의미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beauty of Jook-eum Jo Hee-il(竹陰 趙希逸), a Gwan-gak(館閣) writer active during the years of Seonjo(宣朝) and Injo(仁祖), through <Shingwangsa- sangryangmun> (神光寺上樑文). Although Jo Hee-il had been highly praised by old critics as a great master of literacy, his writings have not been studied due to their vastness and difficulty. His literary products were never inferior to those of the masters of that tim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deserve to be added to the list of literary histories of that time.
    『竹陰集』 represents many kinds of literary achievements in various styles, and the highlight among them is <Shingwangsa-sangryangmun> in the style of sayukbyeonryeo (四六騈儷). This sangryangmun (a prayer written on new building) was published by government office and differentiated with previous ones due to its unique style. This was written from the point of view of Mook-eun Leesaek (牧隱 李穡, 1328- 1396), a reasonable writer in Goryeo period when rationalism was prevalent and did not use the Gweryeoknansin (怪力亂神, things difficult to be explained with rational reason) that was prevalent in the mid-Joseon period, and had great literary significance in that it expressed the majestic beauty enhanced by the religious sacredness that people in the late Goryeo period might have.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ry art found in <Shingwangsa-sangryangmun>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studies on similar series of Sangryangmun before and after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