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星州 李氏 影堂寺刹 安峯寺의 규모와 운영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ale and operation of Youngdang-Temple Anbongsa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in the 16th centu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16세기 星州 李氏 影堂寺刹 安峯寺의 규모와 운영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31권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박정미

    초록

    본 논문은 묵재 이문건(李文楗, 1495~1567)의 『묵재일기』 중 1545년(명종즉위년)부터 1567년(명종 22)까지 수록된 성주 이씨 영당사찰(影堂寺刹)인 안봉사(安峯寺) 기록을 가지고 16세기 명종대 안봉사에서 수행된 조성역사(造成役事) 및 안봉사 삼보개정권(三寶改定權) 행사를 둘러싼 승속(僧俗)의 입장을 분석함으로써 16세기 명종대 안봉사 운영 양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성주 이씨 선조의 영당을 갖춘 안봉사는 대장경을 진장하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등재된 국가 공인사찰로서 명종대에는 20여 명 안팎의 승려가 거주하였다. 중심구역인 사역(寺域)에 법당⋅조전⋅선당⋅승방⋅삼보청⋅종각⋅누각이, 사역의 서쪽으로 부속된 영당구역에 영자전과 행랑이 있었다. 거기에 부속암자를 거느리며 향촌사회에서 상당히 규모를 갖춘 사찰로 인식되었다.
    사찰의 불사는 안봉사 대중이 화주(化主) 소임 승려를 중심으로 성주 이씨 가문의 후원을 받아 진행한 반면, 영당의 조성역사는 영당제 후 문중회의에서 결정하고 문중의 일원이 경비를 갹출하여 안봉사 삼보가 실무를 대행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안봉사 삼보는 사주(寺主)로서 안봉사의 살림 전반을 책임지며, 성주 이씨 문중의 연례행사인 영당제에서 제수를 마련하고 지공(支供)을 담당하였다. 삼보의 차정은 성주 이씨 영당제 후 문중회의에서 결정되고 차문(差文)⋅삼보문자(三寶文字)를 주어 공식화 하였지만, 그 과정에서 안봉사 사중은 사의(寺議)를 조성하여 삼보 차정에 영향력을 발휘하였고, 사찰의 내부사정을 고려하여 직접 삼보를 지정하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주 이씨 문중은 퇴락한 사찰이 아닌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사찰에 의지하여 문중의 영당을 운영하였으며, 안봉사와 성주 이씨 문중은 상호조율하며 사찰과 영당을 운영해 나갔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Buddhist consuetude still remained, and Confucianism and Buddhism co-existed under the condition of Honoring Confucianism and Repressing Buddhism(崇儒抑佛) in Joseon Dynasty. To prove this assumption, I want to analyze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Anbongsa(安峯寺) in the mukjaeilgi(默齋日記) , Confucian literati Lee Mun-Gwon(李文楗, 1495~1567)’ daily records.
    For this analysis,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y of Anbongsa, the scale of Buddhist buildings, and the number of monks in Anbongsa. Next, I analyzed the Buddhist temple construction(佛事) done in Anbongsa, and the positions of the Lee family of Seongju(星州 李氏) and the Anbongsa’s monks on the right to revise Anbongsa-Sambo(三寶). In such an analysis, I go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nbongsa as a nationally certified temple had a relatively large scale and enshrined once the Tripitaka collection. Under the auspices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Anbongsa was most prosperous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bout twenty monks always resided in Anbongsa. The ​​Anbongsa temple wa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and there were Dharma Hall(法堂)⋅Zen Hall(禪堂)⋅Vihara(僧房)⋅Sambo-Office Building(三寶廳)⋅Jonggak(鐘閣) and so on. Youngdang(影堂), located to the west of Anbongsa, had a Youngjajeon(影子殿) with portrait paintings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and had rooms on both sides of the main gate(行廊). Anbongsa’s controled hermitage was Dongam(東庵).
    Second, Hwaju(化主) that was selected from among the monks of Anbongsa supervised the Buddhist temple construction. The expense of Buddhist temple construction was prepared by the Gwonseonmun(勸善文) of monks or under the auspices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directly.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Youngdang took a decision in conference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shared the expenses with each other. They supervised temple construction project, Anbongsa-Sambo checked the construction site.
    Third, Anbongsa-Sambo was in charge of the temple work, and did odd jobs before and after a religious ceremony in Youngdang. It was determined by the conference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and then election of Sambo was formulated by giving the appointment letter. The Lee family of Seongju and the monks in Anbongsa negotiated to elect Sambo.
    In conclusion, the Lee family of Seongju and the monks in Anbongsa cooperated with each other in the operation of Anbongsa during the mid-1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