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건(1494~1567)은 1545년 지금의 경북 星州로 유배를 가서 ... 1567년 그곳에서 죽었다. 이문건은 이 기간 동안 詩書畵의 문예활동에 ... 적극적이었다. 이는 『묵재일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문건은 유배를 ... 성주지역에 거주하는 畵工등 藝人들과 연계하여 회화창작활동을 했다. 이문건 ... 은 그림을 그리면 화공들이 배접을 하여 마무리했다. 이문건은 자기에게
조선시대를 읽어내는 것 못지않게 일기의 주인인 ‘이문건’을 읽어내는 것도 ... 있는 형식적이고 습관적으로 여겨지는 기록 가운데 하나이다. 이문건 ... 이문건은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거의 대부분 ‘(묵재)당’에서만 지냈기 ... 기록하지 않고 생략한다. 그런데 이문건은 필요 없어 보이는 이 정보를 ... 이렇듯 저자 이문건의 내면 풍경에 대한 단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이문건의 양아록을 읽고 나서 약 500년 전에도 육아일기가 있었다면 ... 과연 믿을 수 있을까만은 묵재 이문건(李文楗 1494∼1567)이 쓴 양 ... 아록(養兒錄)이 바로 그것이다. 이문건은 조광조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행으로 ... 손자였고, 가문을 이어나갈 하나 밖에 없는 손자였으므로 이문건의 기대와 ... )로 인해 귀양살이를 하게 된 이문건(李文楗)2)이 유배지에서 손자의
교육에 대해 후회했다. 2) 조선 중기 문신 이문건의 손자 이수봉 교육 ... 이문건은 몇 살 때 치아가 났는지부터 시작해서 16살까지의 이수봉에 대한 ... 주년에 다시 결혼하는 것으로 선비옆에 남자아이들이 있다 다. 양아록 (이문건 ... 취하지 않았다. 반면 이문건은 ‘성인군자‘를 목표로 교육을 시켜 잘못을
본고는 16세기 중반 사대부 묵재 이문건(1494~1567)의 개인 ... 생활상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일기 자료는 이문건의 『默齋日記』, 유희춘의 ... 『묵재일기』인데, 특히 이문건의 일기 기록 시기가 42세부터라는 점은 ... 해당하는 기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문건의 『묵재일기』는 자녀 ... 중요한 특징은 자기 고백적인 글쓰기다. 이문건 글쓰기는 서로 병치할 수
This papers is designed to study dynamics of social system and Confucianization in 16th century Korea by observing the preparation of transferred fun..
조선시대의 육아일기 『양아록』 조선시대 이문건이 쓴 『양아록』이라는 ... 16세기 조선 중기 사대부인 묵재 이문건(1494-1567)이 손자인 ... 본이었다. 특히 저자인 이문건은 조선 중기 중종 때부터 명종에 ... 점이 있다. 두 번째로, 저자인 이문건이 조선시대 지도계층으로 유교적인 ... . 실제로 이문건은 지극한 효심의 주인공이었다. 우암 송시열이 지은 ‘이문건
남아있지 않다. 이 글에서는 16세기 경상도 성주지역에 살았던 이문건 ... . 이문건은 특별히 자신의 노비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고 그만큼 많은 기록을 ... 남기고 있다. 이문건은 자신의 노비들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지배자였으며 특히 ... ‘이문건 왕국’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그는 자신이 거느리고 있는 가내사환 ... 잘못하면 가차없이 체벌을 가한다. 또 의술에 밝았던 이문건은 여비들이
We have examined the lives and realities of Seongju’s masters, using Mukju’s Diary written by Mungeon Yi showing the social situations of the 16th 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