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용부분 무단점유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성립과 행사 - 침해부당이득에서의 손해를 중심으로 - 대법원 2017다220744 전원합의체 판결 평석 (Establishment and Exercise of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due to Unauthorized Occupation of Section for Common Use - Focusing on Loss of Unjust Enrichment Arising from Infringement Anal)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06
50P 미리보기
공용부분 무단점유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성립과 행사 - 침해부당이득에서의 손해를 중심으로 - 대법원 2017다220744 전원합의체 판결 평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6호 / 249 ~ 298페이지
    · 저자명 : 윤정운

    초록

    대상판결의 핵심 쟁점은 타인이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을 정당한 권원 없이 배타적으로 점유·사용하는 경우 구분소유자에게 민법 제741조에서 정한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는지에 있다. 다수의견은 ‘사용·수익할 권리의 침해’ 그 자체를 손해로 파악하였고, 반대의견은 차액설의 관점에서 손해를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수의견이 타당하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해석적 측면에서 타당하다.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무단점유 사례에 관하여 종래의 차액설에 따르면 침해행위 전후로 권리자인 구분소유자의 재산상태에 증감이 없어 손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용부분에 대한 공유지분권에 입은 불이익 그 자체를 규범적 손해로 볼 수도 있다. 그것이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밑짐”이라고 되어 있는 손해의 사전적 의미에도 부합한다. 나아가 민법상 부당이득 제도는 ‘이익의 반환’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로서 ‘손해의 배상’이라는 불법행위 제도와는 그 취지와 목적을 달리한다. 부당이득에서의 손해는 손해배상에서처럼 그 손해의 현존성과 확정성을 따져야 하는 것이 아니다. 민법 제741조에 영향을 미친 일본 및 독일 민법 규정의 입법 경위를 살펴보더라도 부당이득에서의 ‘손해’를 차액설에 기초하여 파악할 근거가 뚜렷하지 않다.
    둘째, 비교법적 측면에서 타당하다. 침해부당이득에서 ‘손실’은 성립요건으로 규정 또는 요구되지 않거나(스위스, 영국, 미국), 법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독일, 일본). 대륙, 일본 및 국내에서 주류적인 견해로 자리매김한 할당내용설에 따르면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권한 없는 이용에 의해 침해된 권리 그 자체에서 발생한다.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무단점유 사례에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성립요건으로서의 손실 내지 손해의 존부가 문제 된 해외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셋째, 법경제학적 측면에서 타당하다. 만일 침해부당이득이 인정되지 않아 배타적 이익 지배의 교란을 회복할 수 없다면, 재산권의 보호는 공허해지므로 각 경제 주체는 타인의 재산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출할 유인을 가지게 된다.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무단점유로 인한 이득의 반환을 명하는 것이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여 배분적 효율을 증대시킨다.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반환범위는 환송 후 원심에서 심리·판단되어야 한다. 손해의 액수가 산정되어야 하는지,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반환되는 이득에 피고의 지분 상당액은 포함되어야 하는지 등이 쟁점이 될 것이다. 한편 집합건물의 특수성까지 참작하더라도 공유지분권에 기초한 금전채권인 공용부분의 무단점유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채권은 구분소유자에게 귀속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관리단과 구분소유자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한, 관리단의 권리 행사에 관하여 대리, 위임, 채권양도, 임의적 소송담당 등 실체법적 또는 절차법적 법률구성이 불가능하지 않다. 다만 관리단과 구분소유자 사이에 권리 행사 여부에 대한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를 필요로 한다.

    영어초록

    Main issue of the subject case is whether “loss” in the Article 741 of the Civil Act is satisfied in a case where some sectional owners exclusively occupy and use the portions used in common of condominium buildings without having a legal right to do so. The Majority Opinion deems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use and take profits” per se as the loss prescribed in Article 741 of the Civil Act, while the Dissenting Opinion understands the loss based on the difference theory. In conclusion, I agree with the Majority Opinion for three reasons outlined below.
    First, a reasonable ground can be found in the view of interpretation of the law. According to the widely accepted difference theory, exclusive occupation and use of the section for common use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s do not incur any loss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economic position of the owner and the position that would have been had the unlawful conduct not taken place. However, disadvantage of other sectional owners caused by exclusive occupation and use of the common portions without permission per se can be deemed as normative loss. This view accords with lexical meaning of loss, which is the “disadvantage on material and spiritual interest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which is to return the profit from a person enriche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ort, which is to compensate the victim for damage. Even if the same terminology is used in the Civil Act in regard to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the torts,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inology can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t is hard to find any reasonable evidence to regard the loss as the decrease of property value considering legislative history about the Civil Acts of German and Japan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rticle 741 of the Civil Act.
    Second, the Majority Opinion may also be upheld in the comparative consideration. The loss is not required by the statue of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rising from infringement (Switzerland, England, USA), even if there is an Article states “loss” in terms of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the loss does not have its own meaning (Germany, Japan). According to the assignment theory (zuweisungstheorie) that has became the mainstream,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shall be affirmed from the infringed right itself.
    Third, the Majority Opinion can be justified in the view of the law of economics. If the law does not admit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because there is no loss according to difference theory in case of unjust enrichment arising from infringement, people would have great incentive to make infringement to other’s right. In other words, distributive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en the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affirmed if the infringer exclusively occupies and uses the owner’s asset because the unnecessary cost to protect the right can be diminis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