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상 고지의무 위반과 제조물책임법의 표시상 결함에 관한 고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2다230677 판결을 중심으로 (Breach of the Duty of Notice under Civil Law and Warning Defects under Product Liability Law: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May 18, 2023, No. 2230677)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5
27P 미리보기
민법상 고지의무 위반과 제조물책임법의 표시상 결함에 관한 고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2다230677 판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48권 / 2호 / 51 ~ 77페이지
    · 저자명 : 권오상

    초록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2다230677 판결을 중심으로 민법상 고지의무 위반과 제조물책임법의 표시상 결함에 관한 내용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제조물책임법은 민법의 특별법으로서 중요한 특징은 불법행위책임요건인 과실을 제조물의 결함으로 변경한 것이다.
    민법상 고지의무는 민법전에 직접적인 근거규정은 없으나 판례법리로 전개되어 왔다. 대법원은 계약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거나 상대방의 권리 확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사정에 대해서는 이를 미리 상대방에게 고지해야 할 신의칙상의 의무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제조물책임법상 결함 중 표시상의 결함은 제조업자가 제조물에 관하여 합리적인 설명이나 지시 혹은 경고 기타의 표시를 하였더라면 그 제조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이나 피해를 피하거나 줄일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않은 때에 인정된다.
    한편 제조물책임법이 민법의 특별법이더라도 소송상 당사자주의와 어떻게 조화할 수 있는지가 문제될 수 있는데, 원고가 민법상 불법행위책임만 주장한다고 하더라도 그 주장 안에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책임 요건이 포함되어 있다면 제조물책임법을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만약 원고의 이 부분 주장⋅증명이 미흡하다면 법원은 석명권 행사를 통해 제조물책임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증명책임을 명확히 하도록 함으로써 제조물책임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피고의 고지의무 위반을 인정하면서도 제조물책임법을 민법에 우선하여 적용해야 한다고 판시한 대상판결은 타당하다. 또한 이 사안에서 제조물책임법상 표시상의 결함, 설계상의 결함, 기타의 결함도 인정될 여지가 있다. 향후 제조물책임이 문제가 되는 사안에서 법원은 대상 판결의 취지처럼 당사자의 주장에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책임 요건사실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을 심리하고, 필요한 경우 석명권 적극적 행사 등을 통해 제조물책임법을 민법에 우선하여 적용하는 것이 소비자보호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upreme Court’s May 18, 2023 decision, 2022da230677, regarding the violation of the duty of notice under the Civil Code and the defective labeling under the Product Liability Act. The Product Liability Act is a special law of the Civil Code, and its important feature is that it changes the tort liability requirement from negligence to product defect.
    The duty of notice under the Civil Code has no direct provision in the Civil Code, but has been developed through case law.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a person has a fiduciary duty to notify the other party in advance of any circumstances that may affect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or endanger the other party’s rights. A defect in labeling is recognized as a defect in product liability when the manufacturer could have avoided or reduced the risk or damage caused by the product if it had given a reasonable explanation, instruction, warning, or other indication regarding the product, but failed to do so.
    On the other hand, even if product liability law is a special provision of civil law, how to reconcile it with the law of the case can be problematic: even if a plaintiff alleges only civil tort liability, if the plaintiff’s claim includes a defect liability requirement under product liability law, product liability law should prevail. If the plaintiff’s allegations and proofs are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it is appropriate for the court to actively exercise its power of clarification to clarify the parties’ allegations and burdens of proof with respect to product liability so that product liability law can be applied.
    In light of this, the target court’s decision to recognize the defendant’s breach of the duty of notice and to apply the product liability law in preference to the civil law is reasonable. There is also room for the recognition of Warning Defects, design defects, and other defects under product liability law in this case. In future cases involving product liability, courts should consider whether the parties’ claims contain the facts necessary for defect liability under the Product Liability Act and, if not, clarify them through the active exercise of the right to clarify, so that the Product Liability Act is applied in preference to civi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