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사/유사’ 편집의 정치성과 젠더 정치의 무/의식―1916년 『매일신보』 연재 <일사유사>를 중심으로― (The Politics of Editing “Ilsa/Yusa” and the Un/Consciousness of Gender Politics: Focusing on the Serial “Ilsayusa” in Maeil Sinbo in 1916)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일사/유사’ 편집의 정치성과 젠더 정치의 무/의식―1916년 『매일신보』 연재 &lt;일사유사&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4호 / 11 ~ 40페이지
    · 저자명 : 최기숙

    초록

    이 논문은 1916년 1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매일신보』의 「송재만필(松齋漫筆)」란에 대략 8개월간 180회에 걸쳐 연재된 <일사유사>를 ‘편집’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일사’와 ‘유사’의 의미에 매개된 편집의 문화정치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 매개된 젠더적 비대칭성을 논증했다. 장지연은 <일사유사>의 연재를 통해 대안적 역사서술과 확장적 문학사 서술을 실천했으며, 대상자의 역사문화적 맥락성을 고려해 문헌 기록과 더불어 구술청취의 ‘전문(傳聞)’을 참조한 ‘수문수록(隨聞隨錄)’의 글쓰기를 수행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비가시화된 역사⋅문화⋅문학의 실재를 가시화하는 데 기여했다. 실제로 ‘일사’의 양식에는 전, (언)행록, 유사, 시화, 야담, 소설 등이 포괄되었고, 외사씨의 논평 란에서 대상 인물을 조선과 중국의 당대적이고 역사적 인물과 연결하는 계보화를 수행했다. 이와 같은 글쓰기의 전략은 신분, 지역성, 정치성 등의 사유로 배제되고 누락된 역사적 인물의 정체성과 삶, 역량을 가시화하는 역사문화적 ‘접지(earth grounding)’의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장지연은 비가시성의 전제로 알려진 ‘자발적 은거’로 명시된 경우조차, 사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역량을 발휘할 수 없었던 ‘비자발성’이 매개되었음을 강조했지만, 여성 일사에 대해서는 같은 시각을 보이지 않았다. 남성 일사에 대해서는 유교 이념을 ‘벗어난’ 행보에 주목해 당대의 인정구조에서 소외된 다양한 역량을 부각했지만, 여성 일사에 대해서는 여전히 가족 관계 역할에 한정하거나 유교의 덕목에 부합하는 역량과 생애에 주목하는 제한성을 보였다. 이 글에서는 이를 <일사유사> 편집에 일관적으로 투영된 ‘정치적 무의식’과 젠더 비대칭성으로 해석하고, 여성 일사를 가시화 하는 과정에서 역설적으로 여성의 삶 전체가 다시 비가시화되는 역설을 문화정치의 관점에서 해명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Ilsayusa”, which was serialized 180 times over a period of 8 months from January 11, 1916 to September 5, 1916, in the Songjaemanp’il’l section of Maeil Sinbo, from the perspective of ‘editing’. Through the analysis, the cultural politics of editing mediated by the meanings of “Ilsa” (Hidden people), and “Yusa” (Incidental records) and the asymmetrical understanding of gender were explained. Chang Chiyŏn practiced alternative historical writing and expanded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serialization of “Ilsa Yusa”. In addition, he wrote with reference to oral listening as well as literary records, taking into account the subject’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is is a strategy that makes visible the invisible reality of history, culture, and literature. In fact, the style of “Ilsa” includes a collection of legends, historical records, poetry, folk tales, stories, etc., and genealogy was performed to connect the characters in the series with the contemporary times and history of Chosŏn and China through the commentary. This kind of writing strategy can be seen as a practi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earth grounding’ that visualizes the identities, lives, and capabilities of historical figures who have been excluded or omitted due to reasons such as status, regionality, and politics. Chang Chiyŏn emphasized that even in cases defined as ‘voluntary hermit’, who is known as the premise of invisibility, it was actually mediated by ‘involuntariness’ in which one is socially excluded and cannot exert one’s abilities, but he did not consider this point for women. He still described the family role or focused on Confucian virtues in relation to women’s work. This article interprets this as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raises the gender asymmetry that was consistently projected in the editing of “Ilsa and Yuss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