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인도 방목염소 제거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변화 모니터링 -전라남도 신안군 매물도를 중심으로- (The Monitoring of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by the Removal of the Grazing Goats on an Uninhabited island - mainly on the Maemuldo, Sinan-gun Jeollanamdo, Korea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10
21P 미리보기
무인도 방목염소 제거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변화 모니터링 -전라남도 신안군 매물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0권 / 3호 / 225 ~ 245페이지
    · 저자명 : 김하송, 조영준, 송형철, 송도진, 이지희

    초록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영산리에 위치한 매물도의 식물상과 식생조사를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39과 71속 73종 11변종 1품종으로 총 85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 1분류군, Ⅲ등급 4분류군, Ⅰ등급 14분류군으로 총 19개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12.9%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3.4%로 산출되었다.
    매물도의 주요 식물군락은 목본으로는 후박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팽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이 자생하였고, 초본으로는 고사리군락, 억새-사철쑥군락, 명아주군락, 유채-갯장구채군락, 갯장구채군락, 암벽식생, 망초군락, 강아지풀군락 등이 나타났다. 매물도의 산림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식생군락은 까마귀쪽나무군락으로 총 20.21%, 27,040.6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암벽식생이 13.53%, 유채-갯장구채군락이 12.50%로 조사되었다.
    후박나무 맹아지 생장에서 2018년 후박나무 맹아 직경은 6월에는 평균 17.6mm였고, 9월에는 평균 28.7mm로 3개월동안 평균 11.1mm가 직경이 증가하였다. 후박나무 맹아 지상부 길이변화는 6월달에는 평균 167.0cm였고, 9월달에는 평균 209.0mm로 3개월동안 평균 42.0cm가 증가하였다. 후박나무 맹아지 개체수는 평균 29.0개였고, 9월달에는 36.0개로 평균 7.0개가 증가하였다. 과거 방목염소들에 의하여 훼손된 지역을 중심으로 염소퇴치 후, 식물상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2016년 조사에서는 미국자리공군락으로 나타났지만, 미국자리공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면서, 주요군락이 강아지풀군락과 갯장구채군락으로 변화하였다.
    매물도에서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2016년 조사에서는 명아주군락, 유채-갯장구채군락, 망초군락 등이 군락을 이루고, 2018년 조사에서는 강아지풀군락, 망초군락, 갯장구채군락, 억새-사철쑥군락, 명아주군락 등이 나타나면서 군락 분포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과거 방목된 염소로 인하여 하층식생인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식생교란이 일어난 지역이지만, 현재는 관목층에 후박나무, 왕후박나무, 산뽕나무, 초본층에 송악, 미국자리공, 왕모시풀, 노랑하늘타리, 왕후박 등이 구성종으로 나타난 상태이며, 과거 방목염소의 활동지역인 그늘진 상록활엽수림의 하층에서는 이고들빼기, 쇠무릅, 배풍등, 갯기름나물, 송악, 갯장구채, 해국, 포아풀, 소리쟁이, 방가지똥, 망초, 사철쑥, 주름조개풀, 염주괴불주머니 등이 확산되면서, 향후, 이들 군락내에 종구성의 변화가 예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of the goats’ grazing land on the uninhabited island, Maemuldo.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o September 2016, and from June to September 2018.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87 taxa including 39 families, 71 genera, 75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s. 19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s based on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exotic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s 11 taxa. The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eded as 12.6%, and 3.4%. The Litsea japonica commun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among all the forest communities in Maemuldo with 20.21% or 27,040.65㎡. It was followed by the Rock vegetation community with 13.55%, and then the Brassica napus-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with 12.50%.
    In 2018, the average diameter of Machilus thunbergii S. et Z. was 17.6mm in June and 28.7mm in September, and the average diameter increased 11.1mm for 3 months. The height above ground of Machilus thunbergii was 167.0cm in June and 209.0mm in September, which showed an average increase of 42.0cm over 3 months. The change of Machilus thunbergii population was 29.0 in September and 36.0 in September.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vegetation change after chlorine eradication in the area damaged by pasture chlorine, the result of 2016 survey showed Phytolacca americana community, but the main community changed into a Setaria viridis community and a 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while artificially removing the Phytolacca americana community.
    In 2016, there were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communities, a Brassica napus-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and a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etc. in the surveyed area; and a Setaria viridis community, a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a 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a Miscanthus sinensis-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a Chenopodium album community, etc. appeared in the survey in 2018. The vegetation disturbance occurred in the shrub and herbaceous layer as the lower layer vegetation due to the past grazing chlorine. However, the present vegetation appears as Machil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var. obovata, Morus bombycis in the shrub layer; Hedera rhombea, Phytolacca americana, Boehmeria pannosa, Trichosanthes kirilowii, Machilus thunbergii var. obovata in the herb layer; and Youngia denticulata, Achyranthes japonica, Solanum lyratum, Peucedanum japonicum, Hedera rhombea, Melandryum oldhamianum, Aster spathulifolius, Poa sphondylodes, Rumex crispus, Sonchus oleraceus, Erigeron canadensis, Artemisia capillaris, Oplismenus undulatifolius, Corydalis heterocarpa were spread in the lower layer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Changes in composition of species within the community are exp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