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Rakhine Muslims(Rohingya) Dilemma Revisited: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Religio-Ethnic Conflic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02
42P 미리보기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남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아시아연구 / 23권 / 1호 / 235 ~ 276페이지
    · 저자명 : 박장식

    초록

    Recent incidents of lethal violence in the Rakhine State of Myanmar between the majority Buddhist Rakhine and the Muslim Rohingya have been the source of much concern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like the past, the killings and incendiary attacks by both communities have intensified to a critical level, proving to be a great liability for the forward-thinking Myanmar government, whose recent transition to civilian rule after a long military one has made it eager to move on.
    The roots of the conflict trace back to the military regime, who branded the Rohingyas living in Rakhine state as illegal immigrants and refused to confer upon them official recognition as Myanmar citizens. The discord then moved to an ethnic conflict, pitting the Rohingya not merely against the Myanmar government but rather the majority Buddhist Rakhine. The conflict, as it has developed into the present, is an immensely complicated one that simultaneously encompasses ethnic and religious issues, all intertwined together.
    This study aims to see how the two ethnic groups have come to resort to such violence, despite having lived in each other’s presence for many centuries, and why the violence persists. It will attempt to reconcile the fact that Rakhine had historically been a place of convergence for two groups, the Buddhist Rakhine and the Rakhine Muslim(the Rohingya). Based on the argument, this study also seeks to uncover, identify, and understand the Rohingya identity with the extreme arguments exhibited by both sides, and from there, locat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greater religio-ethnic conflict in Rakhine that has so ravaged the place as of recent.

    영어초록

    Recent incidents of lethal violence in the Rakhine State of Myanmar between the majority Buddhist Rakhine and the Muslim Rohingya have been the source of much concern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like the past, the killings and incendiary attacks by both communities have intensified to a critical level, proving to be a great liability for the forward-thinking Myanmar government, whose recent transition to civilian rule after a long military one has made it eager to move on.
    The roots of the conflict trace back to the military regime, who branded the Rohingyas living in Rakhine state as illegal immigrants and refused to confer upon them official recognition as Myanmar citizens. The discord then moved to an ethnic conflict, pitting the Rohingya not merely against the Myanmar government but rather the majority Buddhist Rakhine. The conflict, as it has developed into the present, is an immensely complicated one that simultaneously encompasses ethnic and religious issues, all intertwined together.
    This study aims to see how the two ethnic groups have come to resort to such violence, despite having lived in each other’s presence for many centuries, and why the violence persists. It will attempt to reconcile the fact that Rakhine had historically been a place of convergence for two groups, the Buddhist Rakhine and the Rakhine Muslim(the Rohingya). Based on the argument, this study also seeks to uncover, identify, and understand the Rohingya identity with the extreme arguments exhibited by both sides, and from there, locat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greater religio-ethnic conflict in Rakhine that has so ravaged the place as of rec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