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현대시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과 기호적 주체 연구 -서정주와 김춘수의 경우 (A study on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symbolic subject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perio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4.09
24P 미리보기
전후 현대시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과 기호적 주체 연구 -서정주와 김춘수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40권 / 233 ~ 256페이지
    · 저자명 : 이민호

    초록

    전후 현대시의 특질은 ‘상실과 회복’이라는 두 기의(記意) 속에 양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전후 현대시에 나타난 이질적 양태는 제대로 규명되지 않은 상태다. 전후 현대시가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기표(記標)는 주체의 분열과 공포, 유토피아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궁극적으로 무의식의 구조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전쟁의 외상적 기표들이 무슨 의미인가를 찾기보다는 어떻게 의미가 생성되는지 기호학적 실천을 요구한다. 이에 본고는 텍스트의 형식 분석과 더불어 시적 주체와 독자가 공유하는 동시대적 문제를 조명하였다. 더불어 개인사, 가족 구조, 사회 문화적 상징 질서, 정치적 무의식, 개인적 무의식 등을 동시에 탐구하였다.
    전후의 주체는 ‘욕망하는 주체’이다. 그리고 ‘잃어버린 대상(objet a)’을 찾아 끝없는 미로를 헤매는 운명으로 환상구조(環狀構造)를 이룬다. 이때 잃어버린 대상은 무의식 속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의미가 대치되는 현상을 추적하면 드러나게 된다. 전후 이데올로기는주체에게 가해지는 공포로서 ‘증상적 기호’라 할 수 있다. 첫 번째 의미화 과정은 기표 ‘식민주의’와 기표 ‘전쟁’이 은유적 대치과정을 통해 나타나고, 두 번째 의미화 과정은 기표 ‘전쟁’과 기표 ‘전후 이데올로기’와의 환유적 치환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
    서정주의 ‘소리공포’와 김춘수의 ‘환지공포’라는 증상적 기호는 전후 현대시에 전제될 수밖에 없는 주체 상실의 두 가지 기표, 즉 ‘식민주의’ 기표와 ‘전쟁’의 기표가 의미화 과정을 거쳐 나타난다. 그러므로 주체가 겪고 있는 ‘소리공포’의 증상적 기호는 식민주의와 전쟁 경험이 만들어낸 사후적 병적 징후라 할 수 있다.
    전후 서정주와 김춘수의 시에 자리하고 있는 ‘가족주의’, ‘자유주의’는 식민지 시대 혼종화된 주체와 해체된 주체의 무의식을 환상구조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당대에 스스로를 희생의 중심에 놓고 과거의 행적을 기만하려 했던 사회적 이념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후 현대시의 상실과 회복의 기의는 가족주의와 자유주의 담론에 함몰된 비역사적 무의식의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achieved quantitative achievements with two signified of ‘loss and restoration.’ But, heterogeneous features in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 war period have not been properly.
    The signifiers that are repeatedly re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include splitting, fear and Utopian desire of the subject. Ultimately, it requires structuralization of unconsciousness. And, traumatic signifiers of a war require semiotic practices on the creation of meaning instead of seeking meaning of those signifier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mporary problem which the poetic subject shares with readers together with the format analysis of text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personal history, family structure, social and cultural symbolic order,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personal un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the postwar is ‘desiring subject. And, it forms annulations with destiny wandering in an endless labyrinth in search for ‘a lost object (objet a).’ In this point, the lost object is recorded in the un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revealed if any replacement phenomenon in terms of meaning is sought. The postwar ideology can be said as a ‘symptom sign’ as a fear adding to the subject. In the first signifying process, a signifier ‘colonialism’ and another signifier ‘war’ 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metaphorical replacement process, and the second signifying process is demonstrated by a metonymic substitution between a signifier ‘war’ and another signifier ‘postwar ideology.’For Seo, Jeong-ju, the symptom sign as ‘fear of sound’ and For Kim, Chun-su, the sympton sign as ‘fear of phantom limb pain’ is expressed by the signifying process of two signifiers of loss of the subject as ‘colonialism’ and ‘war’ that must be premise of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ast war period. The threat for expulsion which the subject suffe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onnected to the sorrow and ugliness of the Korean War in related to the images of sorrow and ugliness. Therefore, symptom sign of ‘fear of sound’ for the subject is an ex post pathological sign which experiences of colonial life and war created.
    ‘Familism’and ‘Liberalism’ in the poem of Seo, Jeong-ju and Kim, Chun-su in the postwar period shows the unconsciousness of contaminated subject and the dissolved subject in the colonial period as annulations. It reflects the social ideology to put self at the center of sacrifice in order to deceive past behaviors. Therefore, the signified of loss and restoration of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is a narrative of unhistorical unconsciousness that was impaired by a narrative of familism and libe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