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無姓層의 有姓化 과정에 대한 분석―단성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n How Koreans Came To Have Their Own Family Na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In the Danseong ar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8.06
29P 미리보기
조선후기 無姓層의 有姓化 과정에 대한 분석―단성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62호 / 75 ~ 103페이지
    · 저자명 : 김경란

    초록

    한국에서 모든 사람이 姓을 갖게 된 것은 갑오개혁 이후 신분제가 폐지되고 민적부가 만들어진 이후로 알려져 있다. 그 이전에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성을 갖지 못한 無姓層으로 존재했다. 그렇다면 한국인은 언제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 성을 갖게 되었는가. 이 글은 위 문제의 해명을 위해서 조선후기 姓貫의 실태가 어떠했으며, 성관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 누구였는지, 또 그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성관을 가지게 되었는지 등의 문제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경상도단성현호적대장」을 통해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17세기 후반 전체 호 중 50% 정도였던 有姓貫戶(A)가 불과 100년이 조금 더 지난 시기인 19세기 전반 99%의 비율을 점유하였다. 2. 18세기 有姓貫戶가 급증했던 양상에 반해 동일한 시기 성관의 수치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는 당시 사회의 성관에 대한 우열관념에서 비롯된 改貫의 진행때문이었다. 改貫은 아직 완전한 성관을 갖지 못하고 본관만 기재했던(B) 사람들이 성관을 획득해 가는 과정에서도 역시 본관을 바꾸는 경우가 상당수 이루어졌던 사실이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3. 완전한 성관을 갖지 못한 과도기적인 호(B)나 성관이 없는 호(C)는 대부분 노비호였다. 무성호(B,C)였던 노비호가 유성관호(A)가 되는 것은 양역을 비롯한 국역부담자층의 확보와 일정한 관련을 갖고 있었다. 4. 무성호(B,C)가 성을 갖게 되는 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혈연적인 연관이 있는 경우이다. 둘째, 혈연적인 연관이 없이 성을 취하게 되는 경우이다. 첫 번째의 경우 賤妾 소생인 孽子들이 곧바로 父의 성관을 쓰지 못하다가 世代가 지난 아들, 손자代에 이르러서 성관을 쓰는 사례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위의 경우처럼 혈연적 연관성이 있는 성관을 칭하는 경우보다는 혈연적 연관이 없이 성관을 갖게 되는 경우가 더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원래 성관이 없었던 노비간의 결합을 통해 태어난 노비들이 상당수였기 때문이다. 혈연적 연관성이 없이 성관을 갖는 경우 기존의 성, 특히 단성지역의 대표적 성관인 김해 김씨와 안동 권씨를 칭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칭하기 쉽거나 사회적 위세가 있는 성관을 선호했기 때문이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상당수 한국인이 성관을 갖게 된 것은 조선후기인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인 개관의 진행으로 현재 가지고 있는 한국인의 성관의 외형 역시 조선후기를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t is widely known that not every Korean did have their own family name(姓) until the Korean government abandoned the status system and made a family resister in 1908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Before that, many Korean did not have their own family name(無姓層). Then, how and when Koreans came to have their own family name?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report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family orig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eople who didn't have their own family origin and what kind of processes they had been through to have a family origin. We drew a conclusion of the question as to how those people came to have their own family name by referring to "the Family Register of Kyeong-sang Province Dan-seong Prefecture"
    1. Type A, which was only 50 % of the families in the late 17th century, increased to 99% in the early 19th century after only about 100 years.
    2. In the 18th century, The number of the families who did have their own family names and origins increased, but the number of family name and origin had decreased. That's because people changed their family name and origin to have superior ones.
    3. The families who did not have their own complete family name and origin in transition period(type B) and those who did not have both were some of the Yangin or servants. That servants in types B and C became the family with the family name and origin had something to do with securing the citizen who had responsibilities of drafted labor(良役).
    4. There were two ways those who did not have their family names and origins(type C) or those who did not have either of them(type B) came to have their own family names. First, they chose their family names which had family relations. Second, others chose their family names without any family relations. In the first case, most of them were sons from out of wedlock. They could not use their father's family name in their generation. After one or two generations, they used them. However, the number of families who chose the name and origin without family relations might be far bigger than those of families with the name and origin with family relations. That's because most of them were servants who were born to the servant family without family name and origin. Those who had their family name and origin for the first time in the 18th century were more tend to choose the existing family name and origin, the representative ones in the Danseong area, or the ones which is easy to call or had social status.
    All things taken together, Koreans started to have family name and origin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ppearance of the Koreans' family name and origin was likely to be formed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continuous changes i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