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十門和諍論』에 나타난‘불성 유・무(佛性有無)’에 대한 논의 연구 (The Features of Argument on the Discourse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and Its Interpretation of Wonhyo Shown in Sipmun-hwajgaengl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10
24P 미리보기
『十門和諍論』에 나타난‘불성 유・무(佛性有無)’에 대한 논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94권 / 4호 / 439 ~ 462페이지
    · 저자명 : 김태수

    초록

    본 논문은『十門和諍論』<佛性有無和諍門>에 나타난 불성 유・무(佛性有無)에 대한 논쟁 및 이에 대한 원효(617∼686) 해석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유성・무성론의 논법보다 원효의 화쟁 내용이나 일심과의 관련에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十門和諍論』의 불성 논의에는 원효의 회통 부분이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유성론과 무성론의 논쟁에 대한 원효 해석을 통해 화쟁 방식을 추론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원효가 불성 유・무(佛性有無) 논의를 정리하는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불성 유・무에 대한 두 입장의 타당성과 이에 대한 원효 해석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귀류법(prasaṅga) 등 전통적 논법을 사용하면서도 오류논법 등을 포섭하여 부정을 통한 긍정으로 이쟁(異諍)을 화(和)하는 방식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법성(dharmatā)과 도리(yukti)의 차원에서 다양한 경증과 이증을 통해 해당 논의를 회통하는 방식을 검토할 것이다.
    『十門和諍論』잔간에서는 유성론과 무성론의 양 입장을 서술한 후, 관련 오류를 지적하는 방식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단, 무성론 비판에서 경증 자체가 아니라 경증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나 논리적 오류만을 드러내는 점을 고려해 보면, 유성론 비판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를 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釋華嚴敎分記圓通鈔』의 인용내용 등에 의거할 때, 산실부에서 이어졌을 화쟁은 대승적 견지에서 양론을 동등하게 포섭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부정 이후, 긍정을 유도한다는 점에서『涅槃宗要』의 긍정적 종합과 달리, ‘선별적 부정 및 관점에 따른 긍정’ 방식이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the arguments provided in Sipmun-hwaj gaenglon (Ten Approaches to Harmonizing the Disputes) on the discourse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and its interpretation of Wonhyo (617∼686). A Special attention will be given to his way of interpreting the argument between gotrasattva (sentient beings with Buddha-nature) and agotrasattva (sentient beings without Buddha-nature) while reconciling those.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is argu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logic. With this point in view, this study will examine the validity of each argu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interpretation of them.
    Through this, this research attempts to show that although the traditional logic of reductio ad absurdum (prasaṅga) is mainly used, the logic of fallacy is also taken into account to convince opponents to accept the opposing view. It is viewed as the method of deducing affirmation through negation. Further, it analyzes the way of constructing logical consistency while utilizing various proofs of scripture and logic based on Buddhavacana, which was understood as the true nature of things (dharmatā) and logical principle (yukti). Hereby, attention is also given to its feature of inclusiveness in synthesizing the opposing vie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ologetic or religious hermeneutics of Mahāyāna skillful device, as well as in pointing out fallacies in the relevant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