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 관한 연구: 비서직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among Secretarie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03
20P 미리보기
네트워킹 행동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 관한 연구: 비서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0권 / 3호 / 343 ~ 362페이지
    · 저자명 : 김민아, 백지연

    초록

    본 연구는 조직원의 네트워킹 행동을 조직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로 구분하여, 내부 네트워킹 행동, 외부네트워킹 행동, 무형식 학습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비서직을선정하였는데, 이는 비서직은 조직내 공식적인 교육훈련을 통한 형식학습보다 무형식 학습에 매우 의존하는직군이기에 무형식 학습에 관한 연구에 의미가 크다 하겠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의내부 네트워킹 행동이 무형식 학습에 관계가 있는가? 둘째, 비서의 외부 네트워킹 행동이 무형식 학습에 관계가있는가?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현직 비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4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 네트워킹 행동 중수직적네트워킹행동은무형식학습 결과의 업무지식 획득, 조직적응및맥락이해, 관계형성, 자기개발능력 함양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내부 네트워킹 행동 중 수평적 네트워킹행동은 무형식 학습 결과의 업무지식획득과 관계형성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낸 반면, 조직적응 및맥락이해, 자기개발능력 함양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부 네트워킹 행동 중 관계관리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 학습의 하위변인과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가없었다. 그러나 외부 네트워킹 행동 중 친교적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 학습 중 업무지식 획득에만 부의 유의한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외부 네트워킹 행동 중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은 무형식 학습 결과의 하위변인에 모두 정의 유의한영향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비서직의 경우 무형식 학습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 안에서는 상사를 대상으로한 수직적 네트워킹 행동과 동료 및 부하를 대상으로 한 수평적 네트워킹 행동에 전략을 세우고 강화하는것이 필요하며, 조직 밖에서는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Networking and informal learning have become important career management strategies not only on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on organizational dimensions in the era of new care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among secretaries, who heavily rely on informal learning rather than formal training. In this study, networking behaviors are divided into two main types: internal networking behavior—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s—,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relationship management, friendship and work-related networking behaviors. Informal learning measurement was consisted of attaining job knowledge, adjus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ext, forming relationship, and enhancing self-development skill.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47 incumbent secretaries who were collected by judgement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After screening the data, 240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s in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aining job knowledge, adjus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ext, forming relationship, and enhancing self-development skill of informal learning.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 of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aining job knowledge and forming relationship, bu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jus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enhancing self-development skill.
    Second, relationship management networking behavior in the external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formal learning. However, friendship networking behavior among the external behaviors was negatively related only with attaining knowledge for performance.
    Third, work-related networking behavior in the external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informal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formal learning in secretarial work,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to strengthen the strategy for vertical networking behaviors and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s for superior, colleagues and subordinates in the organization, and work related networking behaviors for expert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s outside the organization. However, friendship networking behavior can take away the opportunity to attaining job knowledge and lower the level of informal learning. Thus, differentiating strategies of networking behavior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can effectively enhance the results of informal learn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The study was the first to show a relation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informal learning, this has not been examined directly in previous empirical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