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有節柄式石劍으로 본 無文土器時代埋葬儀禮의 共有 (The Management of Ceremonial Activities in the Mumun Pottery Period A Typological Study of Hilted Stone Dagger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09
36P 미리보기
有節柄式石劍으로 본 無文土器時代埋葬儀禮의 共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72호 / 36 ~ 71페이지
    · 저자명 : 장용준, Hiragori Tatsuya

    초록

    무문토기시대 매장의례의 공유를 파악하기 위해 한반도 남부지역의 유절병식 석검을 검토하였다. 석검의 다양한 속성 중에서 형태와 규격의 유사성, 출토지역의 상관관계, 공반유물, 부장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유절병식 석검은 분포양상 및 형태에 따라 4가지 형식으로 분류되었고, 공반유물로 볼 때 무문토기시대 전기 말에 출현하여 후기 후반까지 제작·부장되었다.
    유절병식 석검은 길이와 검신형태의 유사성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동일 지역권 내에서의유사성뿐만 아니라 원격지 간에서의 유사성도 인정된다.
    또한 대부분의 유절병식 석검이 지석묘 등의 분묘유구에서 출토되었고,피장자의 허리 부근에서 출토되거나 인위적으로 석검을 破碎하는 등의 부장관습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부장관습이 남한지역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된다는 측면에서 무문토기시대에는 매장의례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무문토기시대 전기 말 이후 출현하는 유절병식 석검에 보이는 의례행위의 공유는 사회통합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석검의 제작과 그것을 부장하는 지석묘의 축조는 단순한 계층화의 진행으로 해석하기보다 같은 사회적 통념을 지닌 문화권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가·협력하여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다. 유절병식 석검의 분포로 볼 때 각 집단은 상호작용망을 통해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anagement of ceremonial activities in the Mumun pottery period based on the hilted stone daggers which are found only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We selected four elements of the hilted stone daggers for analysis: similarities between form and design; artifacts found in association; burial contexts; and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 regions where they were found.
    The daggers were first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form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Distinctive similarities in their form (dagger length and blade form) provided insight into the nature of stone dagger production systems.
    For example, we assume that there was a distribution network of standardized daggers, and that a communication information network influenced their production design. Secondly, we examined the management system of ceremonious activities based on the burial practices of stone dagger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Regular patterns in such practices might suggest the repetition of a certain style of social behavior, and this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interaction sphere of stone daggers.
    To conclude,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ceremonial activities surrounding stone daggers, which appeared in the last stage of the early phase of the Mumun period, and which may have given rise to social integration in the Mumun period. From this viewpoint, the production of stone daggers and the building of dolmens can be interpreted as events of voluntary co-operation which took place within the same cultural sphere, rather than as part of a linear process of stra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