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대용차 고찰 (A Study on Alternative Tea Recorded in 『Joseonmussangsinsigyolijebeob』)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대용차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차문화산업학 / 54권 / 109 ~ 139페이지
    · 저자명 : 최배영

    초록

    본 연구는 1920・30년대 대용차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차 만드는 법」의 내용 및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대용차 조리와 음용에 관한 지식이 근대 시기로 전승된 근거와 그 기록의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조리서에 기술된 대용차는 주재료와 조리방법을 기준으로 화차 6가지(국화차 3가지・매화차 1가지・귤화차 1가지・계화차 1가지), 과실차 2가지(귤강차 1가지・포도차 1가지), 약재차 2가지(오매차 1가지・미삼차 1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이 조리서에 기록되어 있는 대용차 조리와 음용 방법은 조선 후기의 농서, 백과 전서, 문집, 일기 등과 같은 문헌들을 근거로 관련 내용을 탐색할 수 있었다. 셋째, 이 조리서의 대용차 관련 내용에는 차 만드는 재료의 다각적 활용 지혜, 건강과 회복을 위한 차 음용 방법 그리고 차를 통한 완상과 향기의 향유 가치가 내재되어 있어 우리의 생활문화 속에 전수되어온 지식과 경험의 종합적인 결과물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sis for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about the cooking and drinking of alternative teas to the 1920s and 30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cord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and related literatures on 『How to Make Tea』 in 『Joseonmussangsinsigyolijebeob(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written by Lee Yong-gi(1870-1933?) were review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main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the alternative teas recorded in this recipe book were 6 types of flower tea [3 types of Gughwacha(菊花茶), 1 type of Maehwacha(梅花茶), 1 type of tangerine flower tea(橘花茶), 1 type of Gyehwacha(桂花茶)], 2 types of fruit tea [1 type of Gyulgangcha(橘薑茶) and 1 type of grape tea(葡萄茶)] and 2 types of herbal tea [1 type of Omaecha(烏梅茶) and 1 type of Misamcha(尾蔘茶)]. Second, the cooking and drinking methods of alternative teas described in this book could be explored based on documents such as agricultural books, encyclopedias, collections of literature, and a diar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ird, The contents related to alternative teas in this book are involved in the wisdom of using tea-making ingredients in various ways, the method of drinking tea for health and recovery, and the value of enjoying appreciation and aroma through tea. This has significance as the comprehensive result of knowledge and experience passed down in our living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