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를 중심으로 (The political unconscious In Korean disaster films: Based on the 2010s)

6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9.05
69P 미리보기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사회 / 27권 / 2호 / 98 ~ 166페이지
    · 저자명 : 한송희

    초록

    이 연구는 2010년대 한국 재난영화의 등장 및 흥행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간주하고 사회와의 긴밀한 연관 속에서 분석한 글이다. 최근에 일었던 한국 재난영화의 강세는 ‘글로벌 위험사회’가 핵심 키워드가 된 보편의 역사와 재난영화를 더 이상 오락적 대상으로 소비할 수 없는 한국의 특수한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겨난 문화현상이다. 또한 동시에 이들 영화는 스펙터클 이미지를 전면에 배치하고 할리우드 전통의 재난 관습을 따르면서도, 한국 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실을 압축적으로 표상해 지정학적 특수성을 깊이 새기고 있는 징후적 텍스트다. 따라서 재난 서사의 흥행이라는 문화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재난영화를 동시대 한국 사회라는 역사적 지평 속에 위치시키고 그 재현체계를 맥락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2010 년대에 개봉한 일곱 편의 한국 재난영화-<연가시>(2012), <타워>(2012), <더테러 라이브>(2013), <감기>(2013), <부산행>(2016), <터널>(2016), <판도라> (2016) 등-를 알레고리적으로 독해하고 이들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을 탐구한다. 한국 재난영화는 여러 종류의 유토피아적 충동을 드러냄으로써 다양한 논의를 이끌 수 있는 정치적 무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이런 소원 충족적 판타지는 텍스트의 억압에 의해 표면에 드러나지 못한 채 단지 무의식의 형태로서만 존재할 뿐이며 이를 비판의식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텍스트에 개입해 적극적으로 해석할 관객의 존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한국 재난영화가 시대적·사회적 상흔을 새기고 있는 문화 텍스트로 간주되어 다층적인 해석이 활발히 이루어질 때 새로운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appearance and success of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2010s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analyzed them in close relation to society. The popularity of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2010s is a cultural phenomenon aris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global context in which the ‘Global Risk Society’ has become a keyword in terms of Liquid Modernity and late capitalism, and of the specific local condition that can no longer consume disaster movies as entertainment. Also these films are a symptomatic text that place the spectacle images at the front and follows the style of Hollywood’s Disaster films, and are engraved with the geopolitical specificity by presenting a reality of Korean society compressively at the same time.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disaster themes’ hit, we need to take places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historical horizon of recent Korean society and reconstructs the representation systems contextually.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study analyzes seven disaster films released in the 2010sᐨDeranged(2012), Tower(2012), The Terror Live(2013), The Flu(2013), Train to Busan(2016), Tunnel(2016), Pandora(2016)ᐨallegorically and then explores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se films. Korean Disaster Films have ‘the Political Unconscious’ that can lead to various discussions by revealing different kinds of utopian impulses. However, such wishᐨfulfilling fantasies exist only as a form of unconscious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surface by the suppression of the text. Therefore to transform it into criticism by drawing it out to the surface, the presence of the audience to intervene in the text and interpret it actively should be preceded. This study ultimately suggest that new discussion can be initiated only when Korean disaster films are regarded as a cultural text that engraved with historical and social scars and a multiᐨlayered interpretation is a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