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사나무 아래에서』에 나타난 대기근 다시 읽기 (Reading of Famine in Under the Hawthorn Tre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12
25P 미리보기
『산사나무 아래에서』에 나타난 대기근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26호 / 35 ~ 59페이지
    · 저자명 : 김호경

    초록

    19세기 중엽에 발생한 아일랜드의 대기근을 배경으로 한 산사나무 아래에서는가난으로 고아가 된 어린 주인공들이 자신들의 핏줄을 찾아 나서는 모험기를 그린다. 이들의 여정은 민족의 식민경험으로 인한 국가적 상처를 확인하며 피식민자로서 부여받은 오리엔탈리즘적인 정체성에서 벗어나 사회ㆍ문화적ㆍ민족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탈식민주의적 과정이다. 본고는 『산사나무 아래에서』에 나타난 아일랜드의 식민경험에 대한 역사인식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호미비바의 탈식민주의 이론에 등장하는 혼종성ㆍ흉내내기와 관련지어 분석한다. 아동주인공들의 여정을 통해 나타난 조국은 식민지현실의 모습을 정확히 파악하게 해주는 매개자인 동시에주인공들을 절망적인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돕는다. 자신들의 모험을 통해 체험하는 민족정서를 통해 조국의 대지와 자연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는다. 또한 잃어버린 낙원과 같은 옛이야기를 전해주는 어머니의 유년시절을 추억하는 스토리텔링은단지 기억으로만 머물게 할 수도 있지만 아동 주인공들의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는 세대 간의 소통을 이루어내며 식민지현실의 부정적인 모습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산사나무의 작가 콘론맥케너는 아일랜드의 지배국이던 영국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을 두드러지게 강조하지 않는 대신 약자로서의 패배의식에서 벗어나 수정주의시각을 담아내며 스스로 고통스러웠던 과거, 대기근으로 인한 굶주림의 경험을 교훈으로 여겨 미래를 발전시킬 것을 주문한다. 반면 『산사나무』가 지닌 특징아동을 위한 역사소설, 역사소설이 지니는 교훈성-은 아일랜드의 역사 바라보기가 기존의 배타적 민족주의 관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음을 한계로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Irish children’s historical novel Under the Hawthorn Tree (1990) encourages to challenge and change from being the victims of the colonial past of Irish history. For this,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y the novel's release of the pain of the past colonial experience and healing itself in light of Homi Bhabha’s postcolonial notion of hybridity, mimicry, and recovery of the post-colonial identity.
    Set during the Great Famine of Ireland in the 1840s, the child protagonists Eily, Michael and Peggy try to survive the Famine. Being orphaned, they begin their adventure to search for their two great aunts, who only used to appear in the storytelling of their mother. The adventure requires challenges and faces various obstacles the children must overcome although the Irish nature as a good mother figure still provides food them to survive. The children finally reach their ‘blood’. By revealing and accept the past trauma of the colonized history and its healing through the children’s journey in Under the Hawthorn Tree means that the author suggests moving from the darkest past to the brightest future for the nation. However, despite the author Conlon-McKenna’s intention to overcome the nationalist view on its history, the novel still contains the view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istory novel which has the function of didac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