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조리서와 종가의 무김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Recipe of Radish Kimchi between Old Cookbooks of Head and Noble Family and Jong-g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10
16P 미리보기
고조리서와 종가의 무김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28권 / 5호 / 894 ~ 90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진, 이상원, 전형주, 정혜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종가 및 반가 조리서 6권과 5지역의 8곳의종가를 선택하여 무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김치를 무김치류, 동치미류, 깍두기류, 섞박지 및 나박김치류, 기타김치류로 분류하여 비교․고찰하였다.
    무를 이용하여 담가 먹는 김치류로는 무짠지, 무채김치,무김치, 무말랭이김치 등이 있다. 고조리서 반찬등속 에는고추김치와 짠지가, 현대 종가는 창녕 조씨 종가의 쪼고리김치와 밀성 손씨 종가의 오그락지가 분류되었다. 소금으로만간을 하여 만든 반찬등속 에 비해 현대 종가의 김치는 고춧가루와 액젓을 첨가하여 양념을 하여 만든 점에 차이가 있다.
    동치미류는 무를 통째 또는 큼직하게 썰어 소금에 절여 푹잠기게 국물을 부어 심심하게 담근 김치로 선택하여 조사한6권의 조리서에 모두 기록되어져 있다. 수운잡방 의 무김치와 동치미, 주식시의 의 동김치, 음식방문니라 의 동침이법, 시의전서 의 동침이, 반찬등속 의 무김치, 부인필지의 동침이와 김장 후 동지저이다. 동치미의 명칭은 다르지만,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는 비슷하다. 현대 종가의 동치미는 밀양 박씨 종가의 반동치미, 광산 김씨 종가의 빨간동치미, 은진 송씨 종가의 동치미, 문화 류씨 종가의 동치미이다. 고조리서와 만드는 방법은 비슷하지만, 첨가되는 재료가 다양하고, 흔히 알고 있는 하얀 국물색이 아닌 빨간색의 국물을 내는 빨간동치미와 같은 색다른 동치미도 있다.
    깍두기류는 일반적으로 무를 깍둑썰기를 하여 소금에 절이고 양념과 부재료를 넣어 버무린 김치이다. 고조리서에는무에 소금을 뿌려서 절여 담근 시의전서 의 젓무, 반찬등속 의 깍두기1과 소금에 절이지 않고 바로 양념을 버무려 만든 반찬등속 의 깍두기2를 분류하였다. 시의전서 의 젓무는 배추와 오이지를 같이 넣어 만들었고, 반찬등속 의 깍두기1과 깍두기2는 생조기살을 넣어 만들었다. 현대 종가는 명태아가미와 꽁치액젓을 이용하여 만든 창녕 조씨 종가의 서거리지와 실고추와 황석어젓, 새우젓을 이용하여 만든 깍두기가 있다. 무를 절이지 않고 양념과 버무리는 은진 송씨 종가의 깍두기는 반찬등속 에 나오는 깍두기2와 같고, 만드는방법은 시의전서 의 젓무와 비슷하다.
    섞박지 및 나박김치류는 젓갈을 첨가하고, 첨가하지 않는차이점이 있고, 장김치 또한 온갖 재료를 섞어 국물을 부어만들어내는 김치로 나박김치류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고조리서는 주식시의 의 섞박지, 시의전서 의 섞박지, 장김치법, 열젓국지, 장짠지, 음식방문니라 의 장김치법, 부인필지 의 장짠지가 분류되었다. 현대 종가는 은진 송씨 종가의나박김치와 장김치, 파평 윤씨 종가의 장김치, 밀성 손씨 종가의 장김치가 이 분류에 속한다. 고조리서의 섞박지 및 나박김치류는 주로 해산물이 많이 첨가되어 만들어지고, 현대 종가는 종가만의 내림 발효 양념재료를 이용하여 담그는 것을볼 수 있다.
    기타김치류는 무이지만 품종이 다른 열무, 알타리, 순무등을 가지고 만든 김치를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고조리서는순무를 이용하여 만든 수운잡방 의 청교침채법과 겨울나는갓김치이고, 현대 종가는 총각무와 열무를 이용하여 만든 반남 박씨 종가의 알타리무김치와 열무김치, 광산 김씨 종가의열무얼갈이김치, 총각김치이다. 고조리서의 기타김치류는 소금만 이용하거나, 겨자가루를 이용하여 김치를 담그고, 현대종가는 고춧가루와 액젓을 이용하여 담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조리서와 현대 종가의 김치는 시대와 각 지역의 특색에맞게 사용되었고, 시대가 흐르면서 구하기 어렵거나 변화된재료들은 그 흐름에 맞게 대체되어 사용하였다. 현대 종가의내림 김치는 재료와 그 쓰임에 따라 종가 김치에서의 전통성과 지역성, 궁중음식의 영향 또한 살펴볼 수 있었고, 구두에의해 전수되어지고 있는 김치들의 체계적인 정리는 종가 문화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성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하지만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조사 대상 선정에 있어 종가 및 반가의고조리서 6권과 5지역의 8종가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반적인 종가의 무김치를 보기에는 한계가 있고, 향후 연구에서 보다 많은 고조리서와 다양한 지역의 종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지역의음식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를 바탕으로 구성되는데, 마을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하던 종가의 음식은 지역 식재료를 활용한 가장 상위 개념의 음식이었을 것이며, 각 재료의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종가의 김치를 살펴보면 보다 체계적인 종가 김치의 발달사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식의 원형에 대한 정리는 우리 민족의 생활사와 문화를제대로 아는 길이며, 종가 문화와 더불어 음식문화의 올바른이해를 도모하여 미래 식문화 형성과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고, 종가 음식의 대중화 및 산업화에 있어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how radish kimchi (Jong-ga) differs in Jong-ga recipes and old cookbooks. To accomplish this, old cookbooks (「Soowoonjabbang」, 「Jusiksiui」, 「Eumsikbangmunnira」, 「Siuejunsuh」, 「Banchandeungsok」, and 「Buinpilji」) were reviewed and 8 Jong-ga recipes (Seogye Park Se-dang from the Bannam Park clan Jong-ga, Myungsukgong from the Changnyeong Jo clan Jong-ga, Nampa Park Jae-gyu from the Milyang Park clan Jong-ga, Geunggudang Kim Joong-jeung from the Gwangsan Kim clan Jong-ga, Dongchundang Song Jun-gil from the Eunjin Song clan Jong-ga, Myeongjae Yun Jung from the Papyung Yun clan Jong-ga, Daeseunggong Ryu Cha-dal from the Munhwa Ryu clan Jong-ga, Inmukjae Son Sung-jeung from the Milseong Son clan Jong-ga) from five areas were reviewed. We classified the radish kimchi into five categories, radish kimchi, Dongchimi, kkakdugi, Seokbakji and Nabak kimchi and other kimchi. According to old cookbooks, most kimchi was made with radish, cabbage, cucumber, pear, yuju, fish meat, and salt. Modern Jong-ga is made of seasoned radish, sticky rice paste, seafood, sugar, powdered pepper, fish sauce and salt.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notable clans’ cultures via their recipes for kimch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