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법원의 삼성에버랜드 면죄부판결 비판: 비겁하고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사이비법리의 극치 (A Critique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Holding Samsung Everland Not Guilty: An Apex of Cowardly, Indiscriminate, and Irresponsible Pseudo Doctrines of Law)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11
26P 미리보기
대법원의 삼성에버랜드 면죄부판결 비판: 비겁하고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사이비법리의 극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41호 / 481 ~ 506페이지
    · 저자명 : 곽노현

    초록

    대법원이 삼성에버랜드사건을 통해 선언한 ‘주주배정 저가발행 배임무죄’ 법리는 내용적으로 두 개의 하위법리로 구성된다. 첫째는 주주배정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할 때에는 아무리 저가로 발행해도 회사에 대해 배임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둘째는 주주배정과정에서 발생한 실권분을 동일한 저가로 제3자에게 배정하는 행위 역시 회사에 대한 배임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수의견은 주주배정을 거칠 경우, 기존주주들은 저가발행 시에도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 지분희석 등 손해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주주배정방식의 신주발행 시 회사경영진은 구태여 적정주가를 발견하고 책정할 법적 의무가 없으며, 따라서 저가발행을 해도 배임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물론 신주를 주주배정방식으로 헐값에 발행하는 경우에도 기존주주는 다양한 이유와 동기로 신주인수를 포기할 수 있다. 만약 이사들이 이렇게 발생한 실권분을 동일한 저가로 제3자에게 배정할 경우, 마치 이사들의 결정으로 말미암아 제3자에게 부당이득을 안겨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기존주주들이 신주인수권 행사포기를 선택할 때 동일조건의 제3자배정 및 그 결과(자신들의 지분희석과 제3자의 부당이득)를 선택한 것으로 봐야 하기 때문이다. 실권주주들이 자발적이고 합리적 의사로 손해발생의 결과를 선택한 만큼 그를 이유로 이사들에게 배임죄를 물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대법원의 ‘주주배정방식의 저가발행 배임무죄’ 법리는 극도로 무분별하다. 아무런 전제도, 요건도, 한계도 없이 언제나 타당한 법리인양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다수의견은 주주배정방식의 신주발행 시에는 저가발행을 해도 기존주주들이 손해를 보지 않기 때문에 적정주가 책정의무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상장기업이건 상장기업이건 주식을 상품으로 사고파는 이상 적정주가 발견 및 책정 의무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비상장기업의 경우, 특히 기업규모와 발행규모에 반비례해서 적정가 책정의무가 완화될 뿐으로 이해해야 옳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위의 배임무죄법리가 타당하기 위해서는, 첫째, 발행가의 저가성이 현저하지 않고, 둘째, 발행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셋째, 실권비율이 높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마디로 합리적인 실권주주라면 이런 요건이 충족될 때만 동일조건의 제3자배정 및 그 결과를 수인할 것이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회사경영진이 실권분 주식의 적정가를 새로 책정할 의무가 있고, 이를 게을리 할 때 배임죄를 구성한다.
    다수의견은 대재벌은 물론 중하위재벌과 형성중인 재벌한테도 저가발행에 의한 배임행위를 조장하는 무책임법리다. 계열사와 가족 등 특수관계인 만으로 주주가 구성된 비상장기업은, 앞으로 총수일가의 이익을 위해 에버랜드사례를 똑같이 따라 해도 형사처벌을 받을 일이 없기 때문이다.
    다름 아닌 삼성에버랜드 사례에서, 금력에 눈이 멀어 이렇듯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배임법리를 제창한 대법원은 비겁하다. 당시 에버랜드는 비상장이었으나 자산 1조원의 대형회사였고 주주전원이 계열사 등 이건희 회장의 특수관계인이었다. 이런 회사가 기존물량의 150%도 넘는 신규주식을 적정주가의 10%도 안 되는 헐값에 발행했다. 주주배정을 거쳤으나 무려 97%의 실권주가 발생했고, 이것을 총수자녀를 특정하여 인수함으로써 경영권이 넘어갔다. 에버랜드사안은 다수의견의 사이비 법리가 조금의 설득력도 가질 수 없는,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경우다.
    결론적으로 이번 대법원판결은 주주배정을 가장한 총수일가의 배임특권 행사에 합법성의 날개를 달아준, 역사상 가장 비겁하고 무분별한 최악의 판결 중 하나다. 그나마 다행은 이 판결이 6대5, 단 한 표 차로 초라한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In the historical Samsung Everland case, the Supreme Court submitted new doctrines of law on the criminal breach of trust in the context of corporate issuance of new shares. The newly declared doctrine of law that unfairly low pricing of new shares is not guilty in case new shares are subject to the shareholder’s preemptive right consists of two inter-related sub-doctrines. One is that when issuing new shares in respect for the shareholder’s preemptive right, directors have no duty to find out and sell new shares at fair and reasonable prices. The other is that directors may dispose of those new shares not subscribed by the existing shareholders to any third party at the same low price. In other words, this does not constitute a criminal breach of trust against the issuing corporation.

    The majority opinion holds that in case they are granted the preemptive right to subscribe, shareholders are not harmed even when new shares are issued at an unfairly low price.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 it follows, therefrom, that directors are under no legal duty to search and quote a fair price for the new issue. It concludes that in case of offering new shares first to the existing shareholders, unfair pricing shall not be punishable as a criminal breach of trust.

    Shareholders may abandon exercising their preemptive right for a variety of reasons, even when new shares are available at a very low price. In case directors decide to allocate all those unsubscribed shares to a third party at the same low price, the third party will certainly have unjust enrichment as a result. The question arise if such a decision is punishable as a criminal breach of trust resulting in a harm to the issuing company.

    The majority opinion answers the question in the negative on the ground that such consequences, namely, allocation to third parties and the attendant unjust enrichment, was foreseeable but accepted when shareholders chose not to exercise their preemptive right. In other words, directors should not be held responsible for the unilateral transfer of shareholder wealth to the third party because such a transfer has been made based on the intent of the rational shareholder with a free choice to exercise or not his or her preemptive right to subscribe new shares in proportion to his or her shareholding ratio.

    The Supreme Court’s doctrines are extremely indiscriminate because they are presented as if they were free from any premises, requirements, or limitations. First, the majority opinion argues that because corporation’s issuance of new shares at unfair prices does not harm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in case their preemptive right is respected, corporate directors have no duty to issue shares at fair prices. In contrast, this paper argues that directors have a legal duty to search and sell at fair prices any corporate assets as well as corporate shares so long as they are marketable commodities. The director’s duty to quote a fair price for new shares can be weaken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issuing company as well as the volume of the new issue.

    Then, this paper argues that the doctrines as formulated by the majority opinion are valid only when meeting all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first, the share price is not so unfair, second, the volume of the new issue is not so big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shares, and third and most important, the ratio of unsubscription is not so high. If these conditions are not met, directors should determine new conditions including share price before allocating the unsubscribed shares to third parties. Directors’ negligence in this new procedure constitutes a criminal breach of trust.

    The majority opinion in which the issuance of new shares at unfair prices is held innocent is also highly irresponsible in the sense that it encourages rather than discourages criminal breaches of trust to small and mid-sized chaebols and formative chaebols beyond big and established chaebols. It is worried that afterwards unlisted companies whose shareholders consist exclusively of affiliate companies and others subject to the control of the common controling shareholder will safely follow the example of Samsung Everland without any fear of criminal punishment.

    The Supreme Court justices applying these indiscriminate and irresponsible doctrines of innocence to the Samsung Everland case are extremely cowardly. The Samsung Everland case is the worst case imaginable to apply these indiscriminate doctrines because here as large as 150% of the existing volume of shares were newly issued at a predatory price less than one tenth of fair price with 97% of the new shares being not subscribed by the existing shareholders, all under the firm control of Chairman Lee Kun-hee, and allocated to Chairman Lee’s only son and three daughters. Moreover, though unlisted, Samsung Everland was a big corporation with one billion dollars in assets, for which the cost of finding the fair value of its shares is nothing. What blinded the eyes of those cowardly Supreme Court justices must be, therefore, the sheer presence and shining beam of the Money Emperor in the defendant seat.

    In conclusion, the Supreme Court’s Samsung Everland decision is one of the most cowardly, indiscriminate, and irresponsible decisions in the Korean judicial history, which lends the clout of legality to the breach of trust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n the disguise of issuance of new shares to the existing shareholders, all subject to his or her control. To the regret and shame of law and justice, the case of Samsung Everland debunked the Supreme Court as a Supreme Neverland. Fortunate and soothing a little bit, though, is the fact that the decision is in a poor and shaky shape, being taken 6 to 5 with the margin of only one vo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