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종의 부국강병책에 내재된 무(武)의 재해석 ― 광무(光武)와 체양(體養)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The Martial Arts and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 Focused on ‘Bright Martial Arts’ as Era Name and ‘Physical Education’ of Royal Rescrip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09
29P 미리보기
고종의 부국강병책에 내재된 무(武)의 재해석 ― 광무(光武)와 체양(體養)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호 / 135 ~ 163페이지
    · 저자명 : 김주연, 김은정

    초록

    고종은 무를 통한 부국강병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연호로서 광무의 등장과 교육입국조서의 체양 속에 무예와 관련 내용들을 통해서 확인된다. 조선은 1897년 광무 연호를 쓰기 시작하였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변경하여 오늘날과 같은 국제사회의 국가로서 체제를 갖추었다. 이런 점에서 광무의 연호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되새겨보면, 근대적인 국가로 처음 등장한 대한제국의 연호가 광무였다는 점에서 근대 한국이 형성되는데 미친 무의 근원적인 영향을 고려하게 된다. 근대 한국에서 상무(尙武)의 등장은 주목할 만한데, 이는 사회진화론을 통해 나타난 시대적 요구인 민족주의적 상무교육의 부각이 기존에 천시되었던 무예(武藝)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인식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한 부분 때문이다. 교육입국조서를 통해 새로운 교육으로 등장한 체양은 고종의 부국강병에 대한 실천 의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교육입국조서에서 체양의 가치는 흔히 ‘지덕체’로 불리는 전인교육의 필요성으로 언급되었고, 이를 두고 체조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 행해지고 있는 ‘체육·스포츠’의 도입 계기로 한정짓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제 체양이 거국적인 부국강병책 속에서 강병의 실현을 위해 무(武)와 관련되었고 구체적인 무예교육으로 시도되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겠다. 그리고 교육입국조서의 체양으로 인해 학교교육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된 체조는 부국강병의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병식체조로 치중되었다. 체양은 근대식 교과목인 체조로 학교에 남았고, 당시 체조 중에 가장 활성화되었던 병식체조는 군사훈련으로서 무예교육과 연결되어 민족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실행되었다. 외세에 휘둘려 무능하고 유약한 국왕으로 여겨진 고종에 대한 평가가 새롭게 이루어지듯이, 고종의 부국강병책의 일환으로 진행된 무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무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도출했던 고종의 부국강병책을 조명하고, 근대 한국사회에서 무의 실천으로 부각되었던 무예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considered about the martial art ideology in Korean history, especially focused on 'bright martial arts' as era name and 'physical education' of royal rescript. There were martial arts in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in late Chosun. Korean sports were completed control under western physical culture, therefore education of martial arts aim was not important. In modern Korea, military gymnastics was not western physical education, it were the complex concepts including western gymnastics and eastern martial arts. In actual circumstances, outward appearance was gymnastics but inward form was martial arts. Herbert Spencer(1820~1903) was write 『Educati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1861)』and his theory has a great influence on education policy as 'physical education' of royal rescript in Chosun. In that times, Korean nationalism were spread out martial arts education and it was also countermeasures against traditional education which is a theoretical or ideological dispute. Therefore Korean martial arts began to declin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In modern times, this fact is worthy of notice because martial arts should be given more weight during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